與 '기초선거 공천폐지' 딜레마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새누리당이 기초단체장·기초의원 정당공천 폐지 문제를 놓고 고민에 빠졌다. 지난해 대선 때 공천권 폐지를 공약했지만, 이에 대한 부작용을 염려하는 당내 목소리가 계속 나오기 때문이다. 당 일각에서는 기초단제장은 공천권을 유지하고 기초의원만 폐지하는 등의 대안이 거론되고 있다.
최근 민주당은 기초단체장·기초의원 공천 폐지를 당론으로 결정했다. 새누리당 정치쇄신특별위원회(위원장 박재창 숙명여대 교수)도 기초단체장·기초의원 정당공천제를 일단 폐지하고, 향후 12년간 세 차례 지방선거를 치른 뒤 완전 폐지 여부를 재논의하자고 제안했다.
하지만 새누리당 지도부 내에서도 기초선거 공천 폐지에 반대하는 기류가 있어 당론을 쉽게 결정하지 못하고 있는 상황이다.
이에 따라 당 일각에서는 정당공천 폐지의 의미를 살리면서도 반대 의견을 무마할 수 있는 대안 모색에 착수한 것으로 알려졌다. 기초의원에 대해서만 공천을 폐지하고 기초단체장은 공천제를 유지하는 방안, 아예 기초의원 선거 자체를 폐지하는 대신 광역의원 숫자를 늘리는 방안 등이 거론되고 있다.
이태훈 기자 beje@hankyung.com
최근 민주당은 기초단체장·기초의원 공천 폐지를 당론으로 결정했다. 새누리당 정치쇄신특별위원회(위원장 박재창 숙명여대 교수)도 기초단체장·기초의원 정당공천제를 일단 폐지하고, 향후 12년간 세 차례 지방선거를 치른 뒤 완전 폐지 여부를 재논의하자고 제안했다.
하지만 새누리당 지도부 내에서도 기초선거 공천 폐지에 반대하는 기류가 있어 당론을 쉽게 결정하지 못하고 있는 상황이다.
이에 따라 당 일각에서는 정당공천 폐지의 의미를 살리면서도 반대 의견을 무마할 수 있는 대안 모색에 착수한 것으로 알려졌다. 기초의원에 대해서만 공천을 폐지하고 기초단체장은 공천제를 유지하는 방안, 아예 기초의원 선거 자체를 폐지하는 대신 광역의원 숫자를 늘리는 방안 등이 거론되고 있다.
이태훈 기자 beje@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