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악 폭염…전력거래소 절전 위해 4층까지 소등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당진화력3호기 고장…공공기관 냉방기 가동 중단·기업도 절전 동참
남부 대부분 35도 넘어…전국 학교도 개학 연기
한울 원전 4호기, 2년 만에 재가동 승인
남부 대부분 35도 넘어…전국 학교도 개학 연기
한울 원전 4호기, 2년 만에 재가동 승인
연일 이어지는 폭염 속에 예비전력이 바닥을 드러낼 위기에 처한 12일 서울 영동대로 512(삼성동) 전력거래소. 건물에 들어서자 창문으로 들어오는 햇빛으로 사무실 문을 찾아야 할 정도로 어두웠다. 5층 건물의 4층까지는 모든 전등이 꺼져 있었고, 전력상황실이 있는 5층만 전등 몇 개에 의지해 근무 중이었다. 전력거래소는 필수인원 60여명만 남기고 나머지 직원 140명은 대형마트 백화점 등 현장 절전홍보에 내보냈다.
○화력발전소마저 고장 잇달아
절기상 말복인 이날 전국 대부분 지역의 기온이 33도 이상까지 치솟는 등 올 들어 최악의 폭염이 1주일째 이어졌다. 기상청에 따르면 경남 함양군 38.4도를 비롯해 남부지방 대부분의 낮 최고 기온이 35도를 넘었다.
정부 지방자치단체 기업들은 일제히 비상 절전에 나서 공장 등에 전기공급을 강제 중단하는 ‘긴급절전’ 상황은 비켜갔다. 그러나 폭염이 이번주 내내 이어질 전망이어서 13일, 14일이 최대 고비가 될 것으로 보인다.
전력 공급이 절대 부족한 상황에서 화력발전소 고장이 잇따르자 전력 당국의 위기감은 최고조에 달했다. 이날 당진화력발전3호기(발전용량 50만㎾급) 서천화력발전2호기(20만㎾급)는 고장으로 멈춰섰다. 당진화력3호기는 이번주 중 재가동이 어려울 것이란 예상이다. 서천화력2호기는 1시간여 만에 재가동됐으나 출력은 절반(10만㎾)에 그쳤다. 전력난 고비 첫날부터 전력공급이 60만㎾ 줄어든 셈이다.
전력당국은 기업체 절전 규제 등을 시행한 이날 예비전력(전력공급-전력수요)이 160만㎾에 불과할 것으로 예상했다. 당초 예측한 180만㎾를 밑도는 수준이다. 기업체와 국민의 절전 참여로 예비전력은 이날 오후 3시가 지나며 480만㎾로 높아져 한숨 돌렸다.
한편 원자력안전위원회는 이날 2011년 부품 결함으로 가동이 중단됐던 100만㎾급 한울 원전 4호기의 재가동을 승인했다. 한울 4호기는 14일부터 전력 계통에 병입되며 21일 100% 출력을 낼 전망이어서 전력 수급에 다소 숨통이 트이게 됐다.
○지자체 냉방가동 전면 중단
정부는 이날 긴급 관계부처 및 시·도 부단체장 영상회의를 열고 지자체와 공공기관에 실내조명 소등과 냉방기 가동 중단을 주문했다. 공공기관의 실내조명을 원칙적으로 소등하고 계단, 지하 등 불가피한 곳에서만 사용하도록 했다. 사용하지 않은 사무기기, 냉온수기, 자판기 전원을 차단하도록 했다. 500㎾ 이상 비상발전기를 보유한 공공기관은 오후 2~6시 비상발전기를 최대한 가동하도록 했다.
민간부문에 대해서는 ‘문열고 냉방영업’과 냉방온도 제한에 관한 합동점검을 강화할 방침이다. 14일까지는 매일 단속하며, 16일에도 점검하는 등 주 4회 강도 높은 단속을 할 계획이다. 전국적으로 발전 능력이 7744만㎾지만 이날부터 14일까지 최대 전력수요가 8000만㎾를 넘을 것으로 예상돼서다. 서울시를 비롯한 각 지자체는 일제히 사무실 냉방을 멈췄다. 광화문 정부서울청사도 냉방을 중단하고 구역별로 승강기 1대만 운행했다.
전력난 속에 찜통더위가 이어지면서 전국 각급 학교들도 개학을 광복절 연휴 이후로 연기하거나 더위를 피해 단축수업을 하는 등 비상 대책에 돌입했다. 강원 지역에선 5개 학교가 당초 이날 예정됐던 개학을 늦추거나 임시 휴업을 결정했다.
○기업들도 절전대책에 동참
전국경제인연합회 대한상공회의소 중소기업중앙회는 전력대란 우려가 커지자 이날 전체 회원사에 절전대책 동참을 요청하는 긴급 안내문을 발송했다. 전경련은 △전력소비 피크타임인 오전 10시부터 오후 6시까지 최대한 에어컨 가동을 자제하고 △불필요한 조명을 끄고 △가동하지 않는 기기·설비 등의 전원을 차단하며 △승강기 운행대수를 줄이고 격층 운행해줄 것 등을 요청했다.
현대자동차는 전력수급 ‘주의 단계’가 발령될 경우 주요 공장 사무동 냉방기기 가동을 중단하기로 결정했다. 포스코도 비상대응 시스템을 가동시켜 이날부터 16일까지 자가발전율을 90%까지 끌어올리기로 했다. 금호아시아나그룹은 전력난 해소에 동참하기 위해 이날부터 16일까지 닷새간 전국 주요 사업장에서 자체 발전기를 돌리기로 했다.
정보기술(IT) 기반시설인 인터넷데이터센터(IDC)는 전력 수급 비상사태를 맞아 상황실을 구축하고 절전 운영을 하는 등 매뉴얼에 따른 비상 대기 태세에 돌입했다.
강경민/이지훈/이태명/김보영 기자 kkm1026@hankyung.com
○화력발전소마저 고장 잇달아
절기상 말복인 이날 전국 대부분 지역의 기온이 33도 이상까지 치솟는 등 올 들어 최악의 폭염이 1주일째 이어졌다. 기상청에 따르면 경남 함양군 38.4도를 비롯해 남부지방 대부분의 낮 최고 기온이 35도를 넘었다.
정부 지방자치단체 기업들은 일제히 비상 절전에 나서 공장 등에 전기공급을 강제 중단하는 ‘긴급절전’ 상황은 비켜갔다. 그러나 폭염이 이번주 내내 이어질 전망이어서 13일, 14일이 최대 고비가 될 것으로 보인다.
전력 공급이 절대 부족한 상황에서 화력발전소 고장이 잇따르자 전력 당국의 위기감은 최고조에 달했다. 이날 당진화력발전3호기(발전용량 50만㎾급) 서천화력발전2호기(20만㎾급)는 고장으로 멈춰섰다. 당진화력3호기는 이번주 중 재가동이 어려울 것이란 예상이다. 서천화력2호기는 1시간여 만에 재가동됐으나 출력은 절반(10만㎾)에 그쳤다. 전력난 고비 첫날부터 전력공급이 60만㎾ 줄어든 셈이다.
전력당국은 기업체 절전 규제 등을 시행한 이날 예비전력(전력공급-전력수요)이 160만㎾에 불과할 것으로 예상했다. 당초 예측한 180만㎾를 밑도는 수준이다. 기업체와 국민의 절전 참여로 예비전력은 이날 오후 3시가 지나며 480만㎾로 높아져 한숨 돌렸다.
한편 원자력안전위원회는 이날 2011년 부품 결함으로 가동이 중단됐던 100만㎾급 한울 원전 4호기의 재가동을 승인했다. 한울 4호기는 14일부터 전력 계통에 병입되며 21일 100% 출력을 낼 전망이어서 전력 수급에 다소 숨통이 트이게 됐다.
○지자체 냉방가동 전면 중단
정부는 이날 긴급 관계부처 및 시·도 부단체장 영상회의를 열고 지자체와 공공기관에 실내조명 소등과 냉방기 가동 중단을 주문했다. 공공기관의 실내조명을 원칙적으로 소등하고 계단, 지하 등 불가피한 곳에서만 사용하도록 했다. 사용하지 않은 사무기기, 냉온수기, 자판기 전원을 차단하도록 했다. 500㎾ 이상 비상발전기를 보유한 공공기관은 오후 2~6시 비상발전기를 최대한 가동하도록 했다.
민간부문에 대해서는 ‘문열고 냉방영업’과 냉방온도 제한에 관한 합동점검을 강화할 방침이다. 14일까지는 매일 단속하며, 16일에도 점검하는 등 주 4회 강도 높은 단속을 할 계획이다. 전국적으로 발전 능력이 7744만㎾지만 이날부터 14일까지 최대 전력수요가 8000만㎾를 넘을 것으로 예상돼서다. 서울시를 비롯한 각 지자체는 일제히 사무실 냉방을 멈췄다. 광화문 정부서울청사도 냉방을 중단하고 구역별로 승강기 1대만 운행했다.
전력난 속에 찜통더위가 이어지면서 전국 각급 학교들도 개학을 광복절 연휴 이후로 연기하거나 더위를 피해 단축수업을 하는 등 비상 대책에 돌입했다. 강원 지역에선 5개 학교가 당초 이날 예정됐던 개학을 늦추거나 임시 휴업을 결정했다.
○기업들도 절전대책에 동참
전국경제인연합회 대한상공회의소 중소기업중앙회는 전력대란 우려가 커지자 이날 전체 회원사에 절전대책 동참을 요청하는 긴급 안내문을 발송했다. 전경련은 △전력소비 피크타임인 오전 10시부터 오후 6시까지 최대한 에어컨 가동을 자제하고 △불필요한 조명을 끄고 △가동하지 않는 기기·설비 등의 전원을 차단하며 △승강기 운행대수를 줄이고 격층 운행해줄 것 등을 요청했다.
현대자동차는 전력수급 ‘주의 단계’가 발령될 경우 주요 공장 사무동 냉방기기 가동을 중단하기로 결정했다. 포스코도 비상대응 시스템을 가동시켜 이날부터 16일까지 자가발전율을 90%까지 끌어올리기로 했다. 금호아시아나그룹은 전력난 해소에 동참하기 위해 이날부터 16일까지 닷새간 전국 주요 사업장에서 자체 발전기를 돌리기로 했다.
정보기술(IT) 기반시설인 인터넷데이터센터(IDC)는 전력 수급 비상사태를 맞아 상황실을 구축하고 절전 운영을 하는 등 매뉴얼에 따른 비상 대기 태세에 돌입했다.
강경민/이지훈/이태명/김보영 기자 kkm1026@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