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상호 "베트남 등 해외법인 8곳으로 확대…3년내 해외비중 20%로 높일 것"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CEO 투데이 - 한상호 현대엘리베이터 대표
6년 연속 국내시장 1위…기술력으로 해외공략 박차
쉰들러 경영권 위협땐 단호한 대처 방안 있어
6년 연속 국내시장 1위…기술력으로 해외공략 박차
쉰들러 경영권 위협땐 단호한 대처 방안 있어
현대엘리베이터가 올해 말까지 베트남과 아프리카에 추가로 현지법인을 설립해 글로벌 시장 공략을 강화한다. 해외 매출 비중을 지난해 전체 매출의 15% 수준에서 3, 4년 내에 20% 이상으로 끌어올릴 계획이다.
한상호 현대엘리베이터 대표이사 부사장(57·사진)은 13일 서울 중구 반얀트리호텔에서 취임 2주년 기자간담회를 갖고 이같이 말했다. 지난해 말까지 중국과 인도, 인도네시아, 필리핀 등 네 곳에 해외 현지법인을 두고 있던 이 회사는 올 들어 말레이시아와 브라질에 새로 법인을 만들었다. 추가 설립을 통해 연말까지 해외법인 수를 8개로 늘리고 해외 대리점도 58개에서 64개로 확대할 방침이다.
한 대표는 “법인장과 최고재무책임자(CFO)만 한국에서 파견하고 나머지 직원들은 현지인으로 채용해 영업 역량을 강화하기로 했다”며 “채용 규모는 국가별 시장 규모와 성장성 등을 감안해 결정할 것”이라고 했다. 또 “해외법인 설립 방법은 인수·합병(M&A)이나 현지 대리점과 조인트 벤처 설립, 100% 독자 출자 등 다양한 방법을 검토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현대엘리베이터는 중국 상하이에서 현지 공장을 가동해 중국과 동남아 지역에 제품을 공급하고 있다. 또 브라질 현지 공장도 내년 3월 준공을 앞두고 있다. 해외 공략을 강화하는 것은 장기간의 건설경기 침체 등으로 국내 시장만 바라볼 수 없다고 판단했기 때문이다.
그렇다고 현대엘리베이터 실적이 부진한 것은 아니다. 이 회사의 올 상반기 매출은 전년 동기 대비 8.8% 늘어난 4813억원, 영업이익은 127.3% 급증한 412억원을 각각 기록했다. 2010년 전 세계에서 가장 빠른 분속 1080m 초고속 엘리베이터를 개발하는 등 앞선 기술력과 비용 절감을 토대로 경기 침체를 이겨냈다.
지난해 국내 엘리베이터 시장의 42.1%를 차지하는 등 2007년 이후 6년째 시장 1위를 차지하고 있다. 현대엘리베이터에 밀려 티센크루프나 오티스 등 글로벌 경쟁사들의 국내 점유율은 10%대에 머무르고 있다.
한 대표는 “지난해 9월부터 인터넷을 통해 전국 엘리베이터의 운행 상황을 365일 24시간 실시간으로 감시하고 점검할 수 있는 시스템을 선보였다”며 “내년엔 엘리베이터에 탄 고객이 화상통화를 통해 구조 등을 요청할 수 있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한 대표는 회계장부열람 소송 등으로 갈등을 빚고 있는 2대 주주 쉰들러(지분율 30.9%)에 대해서는 “처음에는 ‘M&A에 관심이 없다’고 했다가 최근에는 ‘적대적 M&A는 않겠다’고 하니 정확한 입장을 알 수가 없다”고 했다. 그러나 “아직 소송 중인 부분이 있어서 명확히 밝힐 수는 없지만 경영권을 위협한다면 단호하게 대처할 방안을 갖고 있다”고 강조했다.
한 대표는 연세대 중문학과를 졸업하고 1984년 LG상사에 입사했다. 1996년 LG산전으로 옮기면서 줄곧 엘리베이터 업계에 몸을 담았다. LG오티스 홍콩대만지역장(이사), 오티스엘리베이터 국내사업부장(전무) 등을 거쳐 2011년 7월 현대엘리베이터 대표이사 부사장으로 선임됐다.
서욱진 기자 venture@hankyung.com
한상호 현대엘리베이터 대표이사 부사장(57·사진)은 13일 서울 중구 반얀트리호텔에서 취임 2주년 기자간담회를 갖고 이같이 말했다. 지난해 말까지 중국과 인도, 인도네시아, 필리핀 등 네 곳에 해외 현지법인을 두고 있던 이 회사는 올 들어 말레이시아와 브라질에 새로 법인을 만들었다. 추가 설립을 통해 연말까지 해외법인 수를 8개로 늘리고 해외 대리점도 58개에서 64개로 확대할 방침이다.
한 대표는 “법인장과 최고재무책임자(CFO)만 한국에서 파견하고 나머지 직원들은 현지인으로 채용해 영업 역량을 강화하기로 했다”며 “채용 규모는 국가별 시장 규모와 성장성 등을 감안해 결정할 것”이라고 했다. 또 “해외법인 설립 방법은 인수·합병(M&A)이나 현지 대리점과 조인트 벤처 설립, 100% 독자 출자 등 다양한 방법을 검토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현대엘리베이터는 중국 상하이에서 현지 공장을 가동해 중국과 동남아 지역에 제품을 공급하고 있다. 또 브라질 현지 공장도 내년 3월 준공을 앞두고 있다. 해외 공략을 강화하는 것은 장기간의 건설경기 침체 등으로 국내 시장만 바라볼 수 없다고 판단했기 때문이다.
그렇다고 현대엘리베이터 실적이 부진한 것은 아니다. 이 회사의 올 상반기 매출은 전년 동기 대비 8.8% 늘어난 4813억원, 영업이익은 127.3% 급증한 412억원을 각각 기록했다. 2010년 전 세계에서 가장 빠른 분속 1080m 초고속 엘리베이터를 개발하는 등 앞선 기술력과 비용 절감을 토대로 경기 침체를 이겨냈다.
지난해 국내 엘리베이터 시장의 42.1%를 차지하는 등 2007년 이후 6년째 시장 1위를 차지하고 있다. 현대엘리베이터에 밀려 티센크루프나 오티스 등 글로벌 경쟁사들의 국내 점유율은 10%대에 머무르고 있다.
한 대표는 “지난해 9월부터 인터넷을 통해 전국 엘리베이터의 운행 상황을 365일 24시간 실시간으로 감시하고 점검할 수 있는 시스템을 선보였다”며 “내년엔 엘리베이터에 탄 고객이 화상통화를 통해 구조 등을 요청할 수 있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한 대표는 회계장부열람 소송 등으로 갈등을 빚고 있는 2대 주주 쉰들러(지분율 30.9%)에 대해서는 “처음에는 ‘M&A에 관심이 없다’고 했다가 최근에는 ‘적대적 M&A는 않겠다’고 하니 정확한 입장을 알 수가 없다”고 했다. 그러나 “아직 소송 중인 부분이 있어서 명확히 밝힐 수는 없지만 경영권을 위협한다면 단호하게 대처할 방안을 갖고 있다”고 강조했다.
한 대표는 연세대 중문학과를 졸업하고 1984년 LG상사에 입사했다. 1996년 LG산전으로 옮기면서 줄곧 엘리베이터 업계에 몸을 담았다. LG오티스 홍콩대만지역장(이사), 오티스엘리베이터 국내사업부장(전무) 등을 거쳐 2011년 7월 현대엘리베이터 대표이사 부사장으로 선임됐다.
서욱진 기자 venture@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