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야는 14일 국가정보원 댓글의혹 사건 등에 대한 국정조사특위 청문회의 핵심 증인인 원세훈 전 국정원장, 김용판 전 서울경찰청장의 청문회 불출석을 놓고 책임 공방을 벌였다.

특위 새누리당 간사인 권성동 의원과 특위 위원인 민주당 박범계 의원은 이날 CBS라디오에 나란히 출연, 청문회 연기와 동행명령장 발부 등 쟁점마다 설전을 벌이며 상대에게 책임을 돌렸다.

먼저 박 의원은 새누리당이 두 증인을 출석시키려는 의지가 없다고 비판했다.

특히 이들 증인이 청문회 첫날인 14일이 아닌 마지막 청문회인 21일 출석하는 문제를 놓고 "21일은 되고 14일은 안 되는 이유는 무엇인가.

(새누리당이 이들을) 21일에 나오게 할 능력이 된다면 14일에도 나오게 할 능력이 충분히 있다"고 말했다.

그러나 권 의원은 "출석을 안 하는 것은 그 사람들의 자유 의사이지, 우리가 출석을 강제할 방법이 없다"며 "저희도 두 사람을 출석시키려고 굉장히 노력하고 있다"고 응수했다.

그러면서 "그 부분을 자꾸 여당의 책임으로 돌리려고 하는 야당의 태도도 납득하기 어렵다"고 비판했다.

권 의원은 이들의 청문회 불출석시 동행명령장을 발부하고 16일로 청문회를 미루자는 민주당의 요구에 대해서도 "합의서에도 없는 내용으로 합의정신 위반"이라고 일축했다.

불출석한 증인에 대해 동행명령장 발부 문제를 두고도 입장이 엇갈렸다.

권 의원은 "자기가 권한을 갖고 출석을 안 하는 부분에 대해 동행명령장 발부를 할 수가 없으며 동행명령장 발부 자체도 위법"이라고 말했다.

그러나 박 의원은 "마치 안 나오면 고발해서 강력한 응징을 할 것처럼 (여야간) 합의해놓고 지금 와서는 어쩔 수 없다고 하는 것은 무책임하다"고 비판했다.

(서울연합뉴스) 김연정 기자 yjkim84@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