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주 의원들 "엄청난 일…권영세 증인 채택해야"

원세훈 전 국정원장이 작년 12월 13일 당시 새누리당 선거대책위원회의 권영세 종합상황실장에게 전화를 걸어 2007년 남북정상회담 NLL(북방한계선) 대화록 공개문제에 대해 상의했다고 16일 밝혔다.

원 전 원장은 이날 국회 국정조사특위 청문회에 증인으로 출석, 여야 의원들과의 질의응답 과정에 이같이 답변했다.

원 전 원장은 "(작년) 12월13일에 북한의 미사일 발사 문제로 국회 정보위를 열었는데 (의원들이) 그 문제보다 정상회담 대화록을 공개하라고 하니까, 이쪽(국회)에 있는 사람들과 대화를 해도 안돼 답답해서 정보위가 정회한 틈을 이용해 당시 권 실장에게 전화했다"고 밝혔다.

권영세 전 실장은 18대 국회에서 국회 정보위원장을 지냈으나 19대 총선에서 낙선해 당시는 국회의원 신분이 아니었다.

새누리당 권성동 의원이 "당시 권 실장에게 전화해서 '왜 그리 압박하느냐'고 타박하듯이 얘기한 것이네요'라고 확인하자 원 전 원장은 "그렇다.

권 실장도 '알아서 해라'고 했다"고 답변했다고 전했다.

원 전 원장은 그러나 당시 권 실장과 "(국정원 직원의) 댓글이나 이런 것에 대해선 전혀 얘기가 없었다"면서 "당시 그 문제(댓글문제)는 전혀 심각하게 생각하지 않았다"고 그 이유를 설명했다.

원 전 원장은 앞서 민주당 박영선 의원이 '권영세 상황실장하고는 언제 통화했냐. 12월11일 통화하지 않았느냐'고 따지자 "권 실장과 통화를 했는데, 그것은 '우리는 계속 압박을 받는데 너희 생각도 같은 생각인 거냐' 하는 차원에서..."라고 답변했다.

이어 민주당 박범계 의원이 이 문제에 대해 되묻자 "날짜를 잘못 답변했다"면서 권 전 실장과는 12월 13일 통화했다고 정정했다.

그러면서 "개인적으로 가깝기 때문에 전화한 것"이라면서 "국회 정보위에서 계속 대화록을 공개하라고 해서 '정말 힘들다'는 얘기를 한 것"이라고 해명했다.

이에 박범계 의원은 "적절치 않은 통화"라면서 "아무리 국정원장이라도 유력한 대선후보 선거캠프 2인자인 권 실장과 상의했다는 것은 이거야말로 엄청난 일"이라고 주장했다.

박영선 의원도 "중립을 지켜야 하는 국정원장이 정보위 정회중에 박근혜후보의 종합상황실장과 뭔가를 상의했다는 이런 답변을 듣고 그냥 넘어갈 수 없다.

굉장히 중요한 단서가 나온 것"이라고 가세하며 권 전 실장의 청문회 증인채택을 주장했다.

또 "김무성 새누리당 선거대책위 총괄본부장과 관련해서도 12월16일 김용판 증인과 경찰로부터 어떤 정보를 얻었길래 '댓글 없다'는 말을 했는지, 반드시 짚고 넘어가야 한다"면서 "오늘까지 증인을 채택해야 23일 신문할 수 있다"며 증인채택을 요구했다.

(서울연합뉴스) 김병수 안용수 임형섭 기자 bingsoo@yna.co.kr
aayyss@yna.co.kr hysup@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