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인도와 인도네시아의 금융위기설이 불거지면서 현지에 진출한 18개 국내 금융사에도 적지 않은 여파가 미치고 있습니다.



해당 금융사들은 현지 상황을 파악하며 대책을 마련중이고 금융당국도 모니터링을 강화할 방침입니다.



자세한 내용 취재기자 연결합니다.



이준호 기자!



<기자>



금융위기설에 휘말린 인도와 인도네시아 여파로 금융권도 심상치 않은 조짐을 보이고 있습니다.



금융감독원에 따르면 현재 인도와 인도네시아에 진출한 국내 금융사는 모두 18곳에 달하는 것으로 파악됐습니다.



시중은행이 7곳으로 가장 많았고 보험사가 5곳, 증권사와 카드·캐피탈사가 각각 3곳이 진출한 상황입니다.



우선 은행권을 살펴보면 인도의 경우 국민, 신한, 우리, 하나, 외환은행 등 모두 7곳이 지점3개와 사무소6개를 운영하고 있습니다.



인도네시아에는 4개 은행이 현지법인 4곳과 사무소 1곳을 관리하고 있습니다.



보험권에서는 인도네시아에 진출한 회사가 많은 데, 삼성화재와 LIG손보, 메리츠화재, 한화생명 등이 현지법인으로 진출해있습니다.



증권사는 미래에셋자산운용이 인도에서 현지법인을, 우리투자증권과 키움증권 등은 인도네시아에서 현지법인을 운영중입니다.



카드·캐피탈사는 현대캐피탈이 인도에서 현지법인과 사무소를, 인도네시아에는 롯데카드와 롯데캐피탈이 현지법인을 운영하고 있습니다.



현재 인도와 인도네이시아에 진출한 금융사들은 현지 상황을 면밀하게 지켜보면서 대응책 마련에 들어간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금융당국도 양적완화 후폭풍이 본격적으로 시작된 만큼 관련 시장에 대한 모니터링을 강화하고 필요할 경우 대책을 마련할 것으로 전해졌습니다.



지금까지 한국경제TV 이준호입니다.


이준호기자 jhlee2@wowtv.co.kr
한국경제TV 핫뉴스
ㆍ[블루포커스] `짝` 애정촌, 사랑의 오작교가 되다
ㆍ정소민 다이어트 어떻게 했길래 프로필 사진까지 바꿨을까?
ㆍ서울대생과 손잡은 배우 이인혜! 끝내..!
ㆍ이효리 분노 폭발 "스피카에게 기대가 큰 만큼 실망도 큰법!"
ㆍ`인디아 리스크`··코스피 1,900선 붕괴
ⓒ 한국경제TV,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