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더위 쉼터, 찾아가 봤더니 … 이용자 없어 '유명무실'한 곳 많아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민원실내 쉼터 ‘텅텅’ 경로당은 ‘빽빽’
홍보부족으로 무더위 쉼터는 ‘노인 전용 공간’이라는 인식 많아
세금낭비, ‘눈 가리고 아웅’하는 식의 정부정책이라는 비판도…
홍보부족으로 무더위 쉼터는 ‘노인 전용 공간’이라는 인식 많아
세금낭비, ‘눈 가리고 아웅’하는 식의 정부정책이라는 비판도…
서울 최고 기온이 34도에 육박하며 올 여름 들어 가장 더웠던 21일 오후 찾은 서울 종로구의 한 주민센터. 찜통더위 탓인지 거리를 오가는 삭람들이 거의 없었다. 양산과 부채로 중무장한 사람들만 드문드문 눈에 띄었다. 주민들은 더위를 피해 주민센터 인근 카페에 모여 있었다.
주민센터 안 민원실 직원에게 쉼터 이용 현황을 묻자 “주민 대부분이 민원을 처리하기 위해 센터를 방문할 뿐 더위를 피해 쉼터를 찾은 사람은 지금까지 단 세 명뿐”이라고 답했다. 무더위 쉼터는 주민센터 한 켠에 따로 마련돼 있다. 직원과 주민들이 안팎에서 들여다 볼 수 있는 구조였다. 시민들이 편하게 더위를 피할 수 있을지 의문이 들었다. 이름뿐인 텅 빈 쉼터에는 딱딱한 의자와 책상만 있어 사무실처럼 보였다.
인근의 또 다른 주민센터 안 쉼터 사정도 크게 다르지 않았다. 주민문고를 쉼터로 이름을 붙인 이 곳은 찾는 이가 없어 굳게 닫혀있었다.
주민들로부터 사랑받고 있는 쉼터도 있다. 무더위 쉼터로 지정된 근처 경로당은 더위를 피해 휴식을 취하고 있는 어르신네들로 북새통이다. 회원들에 의해 활발히 운영되던 곳이어서 무더위 쉼터로도 잘 활용되고 있다.
남녀 층이 분리된 경로당은 하루 평균 30명 이상의 어르신들이 이용하는 장소였다. 집과 같은 편한 분위기와 편의시설을 갖췄다. 경로당을 이용하는 정영자 할머니(75)는 “쉴 곳은 제한적인데 너무 많은 사람들이 찾아와 회원을 다 받을 수 없을 때도 있다”고 말했다.
서울시는 올 6월 더위에 약한 노인 등 취약계층의 폭염 피해를 줄이기 위해 총 13억6000만 원의 예산을 조기 투입했다. 전국 3만9789개소를 무더위 쉼터로 지정, 운영 중이다.
서울시의 경우 주민센터와 수련관, 경로당 등 25개 자치구 3391곳이 무더위 쉼터로 활용되고 있다. 하지만 홍보부족 등의 이유로 쉼터의 당초 취지를 살리지 못하고 있다는 지적이 많다. 극소수의 주민들만 혜택을 누리고 있다.
쉼터 주변을 지나치거나 카페에서 휴식을 취하는 주민들의 대다수는 ‘무더위 쉼터’ 존재를 모르고 있었다. ‘노인을 위한 전용 공간’으로 알고 있는 사람도 많았다.
앞으로 인근 무더위 쉼터를 방문할 용의가 있냐고 묻자 40대 주부 이씨는 “홍보부족 때문인지 어르신들만 이용하는 곳이란 인식이 있다" 며 "단순히 앉았다 가는 곳이라면 더워도 집에서 편히 쉬는 게 낫다”고 털어놨다.
50대의 한 남성은 “아무도 이용하지 않는 곳을 정부 방침이라고 무조건 시행하는 것은 세금낭비밖에 안 된다" 며 "제한된 공간에 낯선 사람들과 같이 있어야 하는 쉼터에 가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눈가리고 아웅하는 식의 대책보단 전력난을 타개할 근본적 방법을 고민해야 한다”고 말했다.
담당 공무원들도 무더위 쉼터에 대해 냉담한 반응이다. 무더위 쉼터의 한 관리자는 “무더위 쉼터보다 이전부터 주민편의를 위해 2층에 따로 마련한 주민사랑방을 찾는 주민들이 많다"고 설명했다.
주민사랑방을 찾은 주부 임씨(32)는 “무더위 쉼터가 더 시원하긴 하지만 업무를 보는 민원실내 쉼터는 더위를 피해 쉬어가는 곳이란 인식이 들지 않는다” 면서 “모든 연령대의 주민들이 제대로 쉴 수 있는 문화공간으로 만들어야 한다”고 주장했다. 한경닷컴 이정진 기자 jleel080302@gmail.com
주민센터 안 민원실 직원에게 쉼터 이용 현황을 묻자 “주민 대부분이 민원을 처리하기 위해 센터를 방문할 뿐 더위를 피해 쉼터를 찾은 사람은 지금까지 단 세 명뿐”이라고 답했다. 무더위 쉼터는 주민센터 한 켠에 따로 마련돼 있다. 직원과 주민들이 안팎에서 들여다 볼 수 있는 구조였다. 시민들이 편하게 더위를 피할 수 있을지 의문이 들었다. 이름뿐인 텅 빈 쉼터에는 딱딱한 의자와 책상만 있어 사무실처럼 보였다.
인근의 또 다른 주민센터 안 쉼터 사정도 크게 다르지 않았다. 주민문고를 쉼터로 이름을 붙인 이 곳은 찾는 이가 없어 굳게 닫혀있었다.
주민들로부터 사랑받고 있는 쉼터도 있다. 무더위 쉼터로 지정된 근처 경로당은 더위를 피해 휴식을 취하고 있는 어르신네들로 북새통이다. 회원들에 의해 활발히 운영되던 곳이어서 무더위 쉼터로도 잘 활용되고 있다.
남녀 층이 분리된 경로당은 하루 평균 30명 이상의 어르신들이 이용하는 장소였다. 집과 같은 편한 분위기와 편의시설을 갖췄다. 경로당을 이용하는 정영자 할머니(75)는 “쉴 곳은 제한적인데 너무 많은 사람들이 찾아와 회원을 다 받을 수 없을 때도 있다”고 말했다.
서울시는 올 6월 더위에 약한 노인 등 취약계층의 폭염 피해를 줄이기 위해 총 13억6000만 원의 예산을 조기 투입했다. 전국 3만9789개소를 무더위 쉼터로 지정, 운영 중이다.
서울시의 경우 주민센터와 수련관, 경로당 등 25개 자치구 3391곳이 무더위 쉼터로 활용되고 있다. 하지만 홍보부족 등의 이유로 쉼터의 당초 취지를 살리지 못하고 있다는 지적이 많다. 극소수의 주민들만 혜택을 누리고 있다.
쉼터 주변을 지나치거나 카페에서 휴식을 취하는 주민들의 대다수는 ‘무더위 쉼터’ 존재를 모르고 있었다. ‘노인을 위한 전용 공간’으로 알고 있는 사람도 많았다.
앞으로 인근 무더위 쉼터를 방문할 용의가 있냐고 묻자 40대 주부 이씨는 “홍보부족 때문인지 어르신들만 이용하는 곳이란 인식이 있다" 며 "단순히 앉았다 가는 곳이라면 더워도 집에서 편히 쉬는 게 낫다”고 털어놨다.
50대의 한 남성은 “아무도 이용하지 않는 곳을 정부 방침이라고 무조건 시행하는 것은 세금낭비밖에 안 된다" 며 "제한된 공간에 낯선 사람들과 같이 있어야 하는 쉼터에 가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눈가리고 아웅하는 식의 대책보단 전력난을 타개할 근본적 방법을 고민해야 한다”고 말했다.
담당 공무원들도 무더위 쉼터에 대해 냉담한 반응이다. 무더위 쉼터의 한 관리자는 “무더위 쉼터보다 이전부터 주민편의를 위해 2층에 따로 마련한 주민사랑방을 찾는 주민들이 많다"고 설명했다.
주민사랑방을 찾은 주부 임씨(32)는 “무더위 쉼터가 더 시원하긴 하지만 업무를 보는 민원실내 쉼터는 더위를 피해 쉬어가는 곳이란 인식이 들지 않는다” 면서 “모든 연령대의 주민들이 제대로 쉴 수 있는 문화공간으로 만들어야 한다”고 주장했다. 한경닷컴 이정진 기자 jleel080302@gmail.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