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제

우리나라의 가계 저축률은 장기적으로 하락 추세를 보여왔으며 특히 1990년대 이후에는 그 하락 속도가 OECD 국가 중 가장 빠른 편에 속한다. 다음 중 우리나라 저축률 하락의 원인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고령화 진전 (2) 가계부채 증가 (3) 자산가치의 변동 (4) 근로소득 증가세 둔화 (5) 공적연금 등 사회부담금 증가


해설

저축률(savings ratio)은 소비지출을 제외한 순저축액을 가처분소득으로 나눈 비율이다. 우리나라 저축률은 고도 성장기였던 1975년 7.5% 수준이었으며 1988년 25.9%로 사상 최고치를 기록한 후 떨어지기 시작해 현재는 2~3%대에 그치고 있다. 이는 고령화의 진전, 가계부채 증가, 소득 감소, 사회부담금 증가 등이 주원인으로 꼽힌다. 자산가치의 변동은 저축률 하락 원인과 가장 거리가 멀다. 자산가치 하락은 소비의 감소 요인이다. 저축에는 증가 요인으로 작용할 수도 있고 감소 요인으로 작용할 수도 있다.

정답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