거래소 신 시스템, 거래 급감에 '고민'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Stock & Talk
주식 거래 규모가 계속 줄어듦에 따라 차세대 증권거래 시스템 도입을 앞둔 한국거래소가 고민에 빠졌다.
거래소는 내년 2월 차세대 정보기술(IT)시스템 ‘엑스추어 플러스(EXTURE+)’ 가동을 앞두고 내달부터 주요 증권사를 대상으로 모의테스트를 한다. ‘엑스추어 플러스’는 거래소가 2009년 1000억원을 투자해 증권거래소, 선물거래소, 코스닥증권 등 3개 시장 시스템을 하나로 통합한 ‘엑스추어’의 업그레이드 버전이다.
문제는 최근 증시 부진 장기화로 불거졌다. 거래소가 600억원가량을 추가 투자해 ‘엑스추어 플러스’를 도입하기로 결정했던 2011년은 증시 거래량이 역대 최고치를 갈아치우던 시기. 2011년 4월에는 유가증권시장과 코스닥시장을 합쳐 하루평균 거래대금이 11조원을 넘었다. 하지만 올 들어 증시부진으로 하루평균 거래금액이 5조원대에 불과하다.
거래소는 증시활성화 기반을 확충하기 위해 시스템투자가 불가피하다는 입장이다. 그러나 거래소 고위 관계자는 “시스템 업그레이드를 결정했던 2011년에는 불가피한 조치였지만 요즘 증시거래가 너무 위축돼 고민”이라고 했다.
김동욱 기자 kimdw@hankyung.com
거래소는 내년 2월 차세대 정보기술(IT)시스템 ‘엑스추어 플러스(EXTURE+)’ 가동을 앞두고 내달부터 주요 증권사를 대상으로 모의테스트를 한다. ‘엑스추어 플러스’는 거래소가 2009년 1000억원을 투자해 증권거래소, 선물거래소, 코스닥증권 등 3개 시장 시스템을 하나로 통합한 ‘엑스추어’의 업그레이드 버전이다.
문제는 최근 증시 부진 장기화로 불거졌다. 거래소가 600억원가량을 추가 투자해 ‘엑스추어 플러스’를 도입하기로 결정했던 2011년은 증시 거래량이 역대 최고치를 갈아치우던 시기. 2011년 4월에는 유가증권시장과 코스닥시장을 합쳐 하루평균 거래대금이 11조원을 넘었다. 하지만 올 들어 증시부진으로 하루평균 거래금액이 5조원대에 불과하다.
거래소는 증시활성화 기반을 확충하기 위해 시스템투자가 불가피하다는 입장이다. 그러나 거래소 고위 관계자는 “시스템 업그레이드를 결정했던 2011년에는 불가피한 조치였지만 요즘 증시거래가 너무 위축돼 고민”이라고 했다.
김동욱 기자 kimdw@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