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해수 온도 상승 속도가 세계 평균보다 3배 이상 빠른 것으로 나타났다.

1일 국회 농림축산식품해양수산위원회 김춘진 의원이 해양수산부로부터 제출받은 해양수온 변화 자료에 따르면 2010년까지 43년간 한국 주변 해양의 표층수온은 1.29도 상승했다.

국립수산과학원은 1968년부터 연근해 207개소에서 정선해양관측(정해진 해양관측망의 범위내에서 해양상태 조사를 목적으로 하는 관측)을 실시했다.

같은 기간 세계 표층수온은 0.40도 상승에 그친 점을 감안하면 우리 연근해 해수온도는 세계 평균의 3배가 넘는 셈이다.

수온상승 등 기후변화로 우리 바다의 어획량, 어종 분포, 어종의 생태학적 변동이 나타났다. 2000년 이후 우리 연근해에서는 폭염으로 보름달 물해파리와 노무라입깃해파리 등 해파리가 대량 출현해 어획량 감소와 상품가치 하락, 어구 파손 등 피해를 유발하고 있어 대책마련이 시급하다.

정부는 그러나 기후변화에 따른 어업피해 현황 조사도 정기적으로 하지 않고 있다고 김 의원은 지적했다.

한경닷컴 산업경제팀
기사제보 및 보도자료 open@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