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토교통부는 이 같은 기능을 담은 선불형(충전식) 전국호환 교통카드를 오는 11월 출시할 예정이라고 2일 발표했다. 국토부는 이와 관련, 3일 서울 여의도 63빌딩 컨벤션센터에서 이미 협약을 체결한 경기도를 제외한 나머지 8개 도를 비롯해 코레일(한국철도공사), 한국도로공사, 시외·고속버스 단체 등과 추진 협약을 맺는다.
맹성규 국토부 종합교통정책관은 “17개 광역 지방자치단체 가운데 유일하게 아직 전국호환 교통카드 사업에 동참하지 않은 서울시도 참여하기로 원론적으로 합의했다”며 “실무협의를 진행하고 있다”고 밝혔다. 서울시는 서울 지역 버스·지하철에서 ‘T머니’ 교통카드를 쓰던 시민들이 고속도로·철도까지 이용할 수 있는 전국호환 카드를 사려면 경제적 부담이 생긴다며 반발해 왔다.
국토부는 지자체들과 협의를 진행해 내년 하반기까지는 시외버스와 고속버스 승차권을 구입할 때에도 전국호환 교통카드를 사용할 수 있게끔 시스템을 확대할 계획이다. 철도·지하철역과 공항 등에 있는 공영 주차장에서도 내년부터는 교통카드로 요금을 내고 편리하게 할인받을 수 있게 된다. 장기적으로는 선박과 공공자전거, 택시 등도 교통카드로 이용하게 할 방침이다.
국토부는 이와 함께 내년부터 전국 철도·지하철 역사 등에 전국호환 교통카드 충전 시설을 구축하기로 했다. 전국호환 교통카드의 운용 과정에서 모은 데이터를 교통정책 수립과 교통 서비스 제공에도 활용할 계획이다.
그동안 국토부는 교통카드 전국호환을 위해 2007년부터 표준기술을 개발하고 기본계획을 수립해 정책을 추진해 왔다. 현재의 권역별 선불형 교통카드로는 시내버스와 지하철을 탈 때 전국 대부분 지역에서 사용할 수 있지만 철도와 고속도로에서는 쓸 수 없는 상황이다.
안정락 기자 jran@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