앞으로 스마트폰 등 모바일 기기를 통해 원예작물 재배 환경을 모니터링할 수 있게 된다. 축산시설에도 화재센서를 설치해 위험관리가 가능해진다.

농림축산식품부는 4일 이 같은 내용이 담긴 ‘농식품 정보통신기술(ICT) 융복합 확산대책’을 발표하고 2017년까지 2249억원을 투자하기로 했다. 농식품 ICT 융복합은 기존 농식품의 생산과 유통 과정에 ICT를 결합해 새로운 부가가치를 창출하는 것을 의미한다.

농식품부는 우선 사업화가 쉬운 시설원예와 과수, 축산 분야에 집중 투자하기로 했다. 시설원예 농가 5000가구에 첨단 센싱, 모니터링, 제어 등의 IT 융합 장비를 지원해 작물의 생육 환경을 모바일이나 PC를 통해 제어할 수 있도록 도울 예정이다. 과수 농가 1500곳에는 병해충 예방 장비를 지원해 고품질 작물 생산을 유도할 계획이다. 축산시설의 경우 500가구에 화재센서와 CC(폐쇄회로)TV 등이 포함된 ‘지능형 축사’ 건설을 지원한다.

농식품부는 전문인력 양성과 기술협력 네트워크 구축을 위한 ICT 융복합 지원센터도 설치·운영하기로 했다. 농식품 ICT 생태계 조성을 위한 조치다.

고은이 기자 koko@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