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희찬 한국섬유산업연합회장(사진)은 “2000년대 이후 주춤했던 섬유산업이 최근 힘찬 도약을 준비하고 있다”며 “고부가가치 산업으로 확장이 가능한 분야”라고 강조했다. 노 회장은 고강력 레이온계 원사 세계 1위 기업인 삼일방직 회장으로 2008년부터 섬유산업연합회 회장직을 맡고 있다.
그는 “섬유는 우주와 항공, 자동차, 가구, 전자 등 많은 산업과 연계해서 내구성과 기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기초산업”이라고 설명했다. 예컨대 탄소섬유는 철보다 강도가 10배 이상이지만 무게는 4분의 1밖에 되지 않아 접목 방식이나 분야에 따라 무궁무진하게 쓰일 수 있는 소재라는 얘기다. 많은 국내 섬유업체가 연구소를 두고 슈퍼섬유(탄소섬유 아라미드섬유) 스마트섬유(의료용 섬유, 디지털 의류) 에코섬유(재활용 섬유, 생분해성 섬유) 등을 만들고 있다.
노 회장은 “2000년 187억달러에 달하던 섬유 수출액은 2009년 116억달러로 떨어진 뒤 2010년 139억달러, 2011년엔 159억달러로 반등했다”며 “원사부터 직물 가공, 염색, 디자인, 최종 의류 봉제까지 5~10개 대·중소기업이 뭉쳐 신기술을 개발하는 공동프로젝트가 큰 몫을 했다”고 말했다. 협소한 국내 시장을 대기업과 중소기업이 나눠 먹는 방식이 아니라 세계시장을 겨냥해 함께 제품을 개발하고 시장을 공동으로 개척하는 동반 성장 전략이 효과를 발휘했다는 것이다. 이 프로젝트를 통해 개발한 신섬유 제품은 2007년 536건에서 2012년 1390건으로 늘었다는 게 노 회장의 얘기다. 그는 “지난 4일부터 서울 코엑스에서 열린 섬유교역전에도 중소기업과 대기업이 협력해 개발한 신섬유가 많았다”고 말했다.
노 회장은 “섬유 중소기업들은 해외 시장에서 제품을 판매하기 쉽지 않기 때문에 정부와 지자체, 관련 단체들이 힘을 합쳐 도와줘야 한다”고 당부했다.
은정진 기자 silver@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