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자금460억' 4대강 설계업체 기사회생 했지만 …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4대강 사업 비자금' 조성 의혹에 휘말린 도화엔지니어링이 상장폐지 위기를 모면했다. 하지만 입찰 참여에 대한 불이익과 매출 타격 우려로 투자자들의 주의가 요구된다는 지적도 나온다.
5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도화엔지니어링은 지난 3일 상장적격성 실질심사대상에서 제외됐다. 유가증권시장에서 도화엔지니어링 주가는 재거래일 첫날(4일) 5.23% 급등했다.
당초 이 회사는 지난달 27일 김영윤 회장이 회사 자금으로 비자금을 조성한 혐의로 구속 기소되면서 매매거래 중지됐다. 검찰이 추정한 횡령 금액은 약 463억원. 지난해 말 자기자본의 21.3% 수준. 김 회장은 비자금 조성을 은폐하기 위해 회계장부를 조작한 혐의도 받고 있다.
한국거래소 측은 상장폐지에 이를 만한 사유는 없었다고 결론내렸다. 한국거래소가 상장적격성을 판단하는 가장 큰 기준은 재무 안정성이나 영업지속성 등 회사의 기초 체력이다.
도화엔지니어링은 최근 3년 동안 매년 2800억원 이상의 매출을 올렸다. 또 국내 건설 및 설계업체와 비교해 안정적인 재무구조를 가졌다는 게 업계의 평가다. 경영진의 횡령 사건이 불거져 현재 상장폐지 수순을 밟고 있는 예당, 위다스 등과 도화엔지니어링의 차이점도 여기에 있다.
김 회장이 분식회계 혐의를 받고 있지만 이를 감안해도 재무 상태에 대한 평가가 크게 달라지지 않는다는 분석이다. 안영복 NICE신용평가 실장은 "회사 자금을 영업비용 및 용역매출원가를 과대계상하는 방식으로 재무상태에 반영시켰다" 며 "현재로선 횡령 및 분식회계에 관련한 상장폐지 위기에서 벗어났다"고 분석했다.
그러나 4대강 사업 부실 설계 논란에서 자유롭지 못해 향후 사업에 악영향을 받을 수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도화엔지니어링은 GS건설로부터 창녕·함안보 등의 설계를 맡아 증권가에선 '4대강 사업의 최대 수혜업체'로 꼽혔다.
안 실장은 "도화엔지니어링의 매출 발생처는 대부분 관공서 수주로 제한적인 편" 이라며 "향후 입찰 참여에서 행정적인 패널티가 있을 수 있어 매출 타격이 있는지를 가장 관심있게 지켜봐야 한다"고 말했다. 이어 "입찰 참여가 완전히 제한될 가능성은 낮지만 현재 수주 잔량이 주는 추세를 고려할 필요가 있다"고 지적했다. 한경닷컴 이하나 기자 lhn@hankyung.com
5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도화엔지니어링은 지난 3일 상장적격성 실질심사대상에서 제외됐다. 유가증권시장에서 도화엔지니어링 주가는 재거래일 첫날(4일) 5.23% 급등했다.
당초 이 회사는 지난달 27일 김영윤 회장이 회사 자금으로 비자금을 조성한 혐의로 구속 기소되면서 매매거래 중지됐다. 검찰이 추정한 횡령 금액은 약 463억원. 지난해 말 자기자본의 21.3% 수준. 김 회장은 비자금 조성을 은폐하기 위해 회계장부를 조작한 혐의도 받고 있다.
한국거래소 측은 상장폐지에 이를 만한 사유는 없었다고 결론내렸다. 한국거래소가 상장적격성을 판단하는 가장 큰 기준은 재무 안정성이나 영업지속성 등 회사의 기초 체력이다.
도화엔지니어링은 최근 3년 동안 매년 2800억원 이상의 매출을 올렸다. 또 국내 건설 및 설계업체와 비교해 안정적인 재무구조를 가졌다는 게 업계의 평가다. 경영진의 횡령 사건이 불거져 현재 상장폐지 수순을 밟고 있는 예당, 위다스 등과 도화엔지니어링의 차이점도 여기에 있다.
김 회장이 분식회계 혐의를 받고 있지만 이를 감안해도 재무 상태에 대한 평가가 크게 달라지지 않는다는 분석이다. 안영복 NICE신용평가 실장은 "회사 자금을 영업비용 및 용역매출원가를 과대계상하는 방식으로 재무상태에 반영시켰다" 며 "현재로선 횡령 및 분식회계에 관련한 상장폐지 위기에서 벗어났다"고 분석했다.
그러나 4대강 사업 부실 설계 논란에서 자유롭지 못해 향후 사업에 악영향을 받을 수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도화엔지니어링은 GS건설로부터 창녕·함안보 등의 설계를 맡아 증권가에선 '4대강 사업의 최대 수혜업체'로 꼽혔다.
안 실장은 "도화엔지니어링의 매출 발생처는 대부분 관공서 수주로 제한적인 편" 이라며 "향후 입찰 참여에서 행정적인 패널티가 있을 수 있어 매출 타격이 있는지를 가장 관심있게 지켜봐야 한다"고 말했다. 이어 "입찰 참여가 완전히 제한될 가능성은 낮지만 현재 수주 잔량이 주는 추세를 고려할 필요가 있다"고 지적했다. 한경닷컴 이하나 기자 lhn@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