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SDS
해외사업 총력전…전담 사업부 만들고 4년후 매출비중 60%로

삼성SDS가 구축한 중국 광저우 철도자동요금징수시스템(AFC).  삼성SDS 제공
삼성SDS가 구축한 중국 광저우 철도자동요금징수시스템(AFC). 삼성SDS 제공
삼성SDS는 2017년까지 매출을 두 배 성장시키고 해외사업 매출 비중을 60%까지 끌어올릴 계획이다.

지난 7월 해외사업을 본격화하기 위해 국내 공공분야와 금융·서비스 정보기술(IT) 부문을 축소하는 대신 해외사업을 전담하는 스마트 매뉴팩처링&타운(SMT)과 기존 IT서비스 유지·보수를 담당하는 정보통신기술(ICT)아웃소싱 사업부를 신설했다. 더 이상 국내에서 사업을 확장하지 않고 해외 사업 위주로 ‘선택과 집중’을 하려는 전략이다.

해외 사업 전초기지 역할을 담당하는 SMT조직은 중동지역 건설 융복합 사업에 집중한다는 계획이다.
삼성SDS는 생산 공정 자동화와 운영 효율화를 위한 솔루션을 보유한 제조IT 분야 대표 회사다. 전사적자원관리(ERP), 제품수명주기관리(PLM), 공급망관리(SCM), 생산관리시스템(MES) 등 스마트 매뉴팩처링(SM) 노하우를 보유하고 있다.

삼성SDS는 기존에 중국에서 운영하고 있는 글로벌개발센터(GDC)규모를 확장하는 프로젝트도 진행하고 있다.

삼성SDS 관계자는 “해외에서 성과를 거두고 있는 제조IT와 디지털 공간 융합(DSC·Digital Space Convergence) 사업 등을 중심으로 중동 중국 등 해외 시장 공략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고 말했다.

DSC는 도서관 쇼핑몰 전시관 박물관 등 다양한 공간에 첨단 IT와 디자인을 접목하는 사업이다. 세계시장 규모가 2015년까지 30조원에 달할 것으로 삼성SDS는 내다보고 있다. 삼성SDS는 2010년 성결대 명지대 등 국내 대학에 관련 기술을 도입한 바 있다. 성결대 학술정보관은 대형 디스플레이를 이용해 다양한 영상을 보여주는 등 기존 도서관과 차별화에 성공했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이 회사는 세계 최대 석유회사인 사우디아라비아 아람코가 사우디아라비아 다란에 건설 중인 세계문화센터 DSC 사업도 수주했다. 이 외에 영국 버밍엄대의 신축 도서관 사업도 수주, DSC 시설 구축을 완료했다.

삼성SDS는 해외에서 전자정부사업, 철도자동요금징수시스템(AFC), 지능형교통시스템(ITS) 등 다양한 분야 IT서비스 사업도 추진하고 있다. 이 중 철도 AFC는 삼성SDS의 주요 해외 진출 사업으로 손꼽힌다. 2002년 중국 광저우를 시작으로 베이징 우한 텐진에 삼성SDS가 구축한 AFC가 도입됐다. 2008년 인도 델리, 2009년 인도 벵갈루루, 2010년 중국 청두, 2011년 말레이시아 쿠알라룸푸르 등에서 AFC 사업을 수주하기도 했다.

이 회사는 국내 전자정부 분야 사업 경험을 바탕으로 해외에서도 몽골 코스타리카 등의 전자조달시스템을 구축했다. 튀니지 전자조달시스템 시범사업도 수주해 진행하고 있다.

LG CNS
에너지 절감 스마트 기술…빅데이터 분야 이어 무인헬기 사업에도 진출

LG CNS가 스마트 그린 솔루션을 적용해 불가리아에 구축한 태양광 발전소.  LG CNS 제공
LG CNS가 스마트 그린 솔루션을 적용해 불가리아에 구축한 태양광 발전소. LG CNS 제공
LG CNS는 빌딩 한 채부터 대규모 도시까지 전력을 손쉽게 제어하고 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는 ‘스마트 그린 솔루션’을 앞세워 다양한 사업에 뛰어들고 있다. 기존의 시스템통합(SI)에서 탈피한 솔루션 기반의 기술을 개발해 해외 사업에도 박차를 가한다는 전략이다.

이 회사는 지난해 7월 스마트 기술을 적용해 빌딩 공장 도시 등 다양한 시설의 에너지를 절감·운영할 수 있는 스마트 그린 솔루션을 출시했다. 이 솔루션은 LG CNS가 2010년 6월부터 20여개월에 걸쳐 개발한 ‘스마트 그린 플랫폼’을 이용한 것이다.

스마트 그린 솔루션을 적용한 시설은 18%에서 50%까지 절감 효과를 거둘 수 있다고 LG CNS는 설명했다. 소비자나 관리자가 스마트폰, 태블릿PC 등 스마트 기기를 이용해 시설을 제어하기 때문에 조작이 간편한 것이 특징이다.

이 솔루션은 LG 트윈빌딩 에너지관리, LG유플러스 통신국 공간관리 등에 첫 시범 적용됐다. LG CNS는 지난해 8월 공장 특화 버전인 ‘스마트 팩토리 솔루션’을 선보였으며 지난해 12월에는 호텔 특화 버전을 내놓고 비즈니스 호텔체인 그룹인 호텔 스카이파크에 적용했다.

LG CNS 관계자는 “다양한 분야에 접목해 에너지 절감효과를 거둘 수 있다”며 “수출이 쉬운 솔루션 제품을 기반으로 해외 사업에 적극적으로 나서고 있다”고 설명했다.

이 회사는 지난해 11월에는 빅데이터 분야에도 뛰어들었다. 빅데이터 통합 솔루션인 ‘스마트 빅데이터 플랫폼을 내놓고 이를 바탕으로 지난 3월에는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를 결합한 빅데이터 제품인 ‘스마트 빅데이터 플랫폼 어플라이언스’를 출시했다.

지난 4월에는 무인헬기 전문기업 ‘원신스카이텍’을 인수해 무인헬기와 정보기술(IT)을 융합한 사업분야 연구·개발에도 나섰다. 무인헬기는 송유관 댐 등 대규모 시설을 감시하고 방사능 탐지, 재난 피해 상황 파악 등 다양한 분야에 이용할 수 있다. 이 무인헬기에 내장되는 임베디드 소프트웨어 기술, 비행제어 관련 기술 등을 공급해 직접 무인헬기 시장을 공략한다는 계획이다.

태양광발전소에 에너지저장장치(ESS)와 에너지관리시스템(EMS)을 구축해 발전소의 전력 생산 효율성과 경제성을 극대화하는 마이크로그리드 솔루션 사업도 지난 7월 시작했다. 마이크로그리드 솔루션은 전력망에 정보통신기술(ICT)을 접목해 국소 지역의 전력 공급 상황을 관리하는 솔루션이다. LG CNS는 제주스마트그리드 실증단지 구축 사업 참여 경험을 바탕으로 이 솔루션을 개발했다.

LG CNS 관계자는 “전기값이 싼 심야 시간대에 모은 전력을 피크 시간대에 활용하는 등 전기 요금에 맞춰 사용 시간대를 조절할 수 있다”며 “다양한 ‘그린’ 솔루션 개발을 통해 에너지 절감 분야 사업을 지속적으로 확대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김보영 기자 wing@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