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남3구(강남·서초·송파)의 평균 전셋값이면 서울지역 내 아파트 중 절반 이상을 살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25일 부동산정보업체인 부동산써브에 따르면 강남3구의 평균 전세가(9월 3주 기준)는 4억4214만원을 기록했다. 집계된 서울의 아파트 119만7762가구(주상복합 포함) 중 이보다 매매가가 저렴한 아파트는 64만518가구(53.4%)인 것으로 조사됐다. 2008년 이후 최고치다.

지역별로 보면 노원구가 11만2332가구로 가장 많았다. 이어 도봉구(5만3480가구), 구로구(4만6916가구), 강서구(4만3240가구), 성북구(4만2647가구) 순이었다. 특히 금천구(92.1%), 도봉구(91.1%), 중랑구(89.6%), 노원구(89.0%), 강북구(87.6%) 등은 강남3구 평균 전세가보다 매매가가 싼 아파트가 10가구 중 9가구에 달했다.

2008년 외환위기 이후 매매시장은 약세를 보인 반면 전세시장은 상승세를 지속해 왔다. 시세 차익 등 매매로 얻을 수 있는 이득이 줄면서 주택을 매입할 능력이 있음에도 강남에서 전세로 살려는 사람들이 늘어났다는 게 업체의 설명이다.

김미선 부동산써브 선임연구원은 “정부가 내놓은 부동산 정책 후속 방안의 국회 처리가 지연되고 있어 전셋값 상승세가 당분간 이어질 것”으로 예상했다.

김동현 기자 3code@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