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유왕 연세사랑병원 강북점 부원장이 무릎 퇴행성관절염 환자를 진료하고 있다.  연세사랑병원 제공
최유왕 연세사랑병원 강북점 부원장이 무릎 퇴행성관절염 환자를 진료하고 있다. 연세사랑병원 제공
퇴행성 변화에 따른 관절염, 즉 퇴행성관절염은 중년 이상 연령층이 흔히 겪는 질병 중 하나다. 그중에서도 평소 가장 많이 사용하는 부위인 ‘무릎’은 퇴행성 변화가 쉽게 찾아온다. 외부 충격이나 노화에 따른 무릎 관절 내 연골 손상으로 뼈와 뼈가 서로 맞닿아 통증을 느끼게 되는 것이 바로 ‘무릎 퇴행성관절염’이다. 연골은 별다른 신경세포가 존재하지 않아 손상돼도 통증을 느끼기 어려운 데다 혈관도 없어 스스로 재생할 수 없다.

○노후 방해…무릎 퇴행성관절염

일상생활 도중 무릎에서 시큰거리는 느낌을 받거나 계단을 오르내릴 때 통증을 느낀다면 무릎 퇴행성관절염을 의심해봐야 한다. 만약 무릎 관절 내 연골이 대부분 닳아버린 ‘무릎 퇴행성관절염 말기’ 상태로 접어들었다면 ‘인공관절 수술’을 받아야 한다.

인공관절 수술은 염증을 일으키는 관절 대신 모형으로 제작된 인공관절을 무릎 내에 이식하는 수술법이다. 수술 후에는 비교적 정상적인 기능을 가진 관절로 회복이 가능하다. 그러나 인공관절은 엄연히 수명이 존재해 어느 정도 경과되면 재수술을 받아야 하지만 그 결과가 좋지 못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때문에 인공관절 수술의 경우 65세 이상 고령층에 권장하고 있다. 최대한 재수술을 피하자는 취지에서다.

최유왕 연세사랑병원 강북점 부원장은 “인공관절 수술은 관절 손상 정도에 따라 일부 또는 관절 전체를 바꿔줄 수도 있다”며 “수술 후에는 관절 유연성 및 운동성이 증가할 뿐 아니라 통증도 감소해 무릎 퇴행성관절염 말기 환자들에게 유용한 치료법”이라고 전했다.

○‘환자 맞춤형 인공관절 수술’

인공관절 수술은 큰 수술이기 때문에 일부 환자들은 두려움을 느끼는 것이 사실이다. 경험이 많은 관절 전문의에게 수술을 받는다면 이러한 부담도 적어진다. 그동안 국내 무릎 인공관절 수술은 발전을 거듭해 오면서 피부 절개 범위 축소 및 수술 중 근육·힘줄 손상 감소 등 안전성을 높여왔다. 이른바 ‘환자 맞춤형 인공관절 수술’ 덕분이다.

환자 맞춤형 인공관절 수술은 이름 그대로 환자에게 최적화된 인공관절을 이식하는 치료법이다. 미국에서는 2009년부터 시행됐다. 국내의 경우 2010년 1월에 식품의약품안전처 승인을 얻었다. 환자 맞춤형 인공관절 수술은 올해 기준으로 전 세계에서 약 4만건이 이뤄진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환자 맞춤형 인공관절 수술은 시행 6~8주 전 자기공명영상(MRI) 또는 컴퓨터단층촬영(CT)을 통해 환자 무릎 관절 모양 및 크기를 미리 측정한다. 이후 인공관절 제조기업이 측정된 자료를 통해 환자 무릎 모양을 재현한다. 기업 측은 연골 병변 두께, 모양, 방향에 맞는 관절모형과 절제가이드를 제작해 다시 의료진에 전달한다. 의료진이 이를 통해 환자 무릎에 꼭 맞는 인공관절로 수술을 시행하는 것이다.

○출혈 줄이고 감염 위험성 낮춰

키, 몸무게 등이 사람마다 서로 다르듯이 무릎 관절 역시 개개인에 따라 크기, 모양 등이 미세한 차이를 보임에도 기존 인공관절 수술은 수술 기구를 환자들에게 일률적으로 적용해 왔다. 반면 자기 맞춤형 인공관절 수술은 시행 전 3차원(3D) 영상을 이용한다. 보다 정확한 수술 계획을 세울 수 있어 수술 시간도 짧아지고 수술 중 발생할 수 있는 감염 위험성도 줄일 수 있게 된 것. 또 기존 인공관절 수술 기구는 환자 뼈에 구멍을 뚫은 뒤 긴 수술 기구를 이용해 정렬시켜야 했기 때문에 침습적이고 출혈을 어느 정도 감수해야 했다. 환자 맞춤형 인공관절 수술은 시행 전 MRI 촬영을 통해 환자 관절 모양 및 크기에 맞춰 ‘환자 맞춤형 인공관절 절삭기구’를 제작하게 된다. 덕분에 신체 조직 손상이나 출혈이 적어 정확한 수술을 도모할 수 있다.

고용곤 연세사랑병원 병원장은 “환자 맞춤형 인공관절은 수술 시 절제 가이드를 적용해 정확하게 인공관절을 삽입할 수 있어 대퇴부나 장단지부 등의 주변 조직 추가 손상이 적다”며 “이와 함께 폐색전증, 지방 색전증 등의 합병증도 막을 수 있어 환자 만족도가 높은 편”이라고 설명했다.

은정진 기자 silver@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