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경환 새누리 원내대표 "野 정상화 조건 내세우는데…채동욱 등 타협대상 될 수 없어"
“정기국회는 절대 타협의 대상이 될 수 없다.”

최경환 새누리당 원내대표(사진)는 26일 기자와의 통화에서 “정기국회 정상화를 놓고 민주당이 이런 저런 조건을 붙이는 것은 조건 없는 등원을 내세운 당초 약속에 배치된다”며 이같이 강조했다. 최 원내대표는 “임시국회와 달리 정기국회는 국회법에 따라 열게 돼있다”며 “민주당이 정치적 쟁점을 의사 일정과 연계해 정기국회를 볼모로 삼고 있는 것은 구태적인 정치공세”라고 지적했다.

민주당이 정기국회 완전 정상화의 전제 조건으로 내걸고 있는 요구안에 대해선 ‘수용 불가’ 입장을 분명히 했다. 그는 채동욱 검찰총장 사퇴와 관련한 긴급 현안질의 요구에 대해 “대정부 질의와 해당 상임위원회를 통해 우선 문제 해결의 실마리를 찾고 이게 부족할 경우 추가로 긴급 현안질의를 요청하면 된다”며 “이 문제를 갖고 국회 발목을 잡고 있는 이유를 이해할 수 없다”고 비판했다.

민주당이 요구하는 국가정보원 개혁특별위원회 설치도 한마디로 일축했다. 최 원내대표는 “최근 민주당이 내놓은 국정원 개혁안은 사실상 국정원을 해체하고, 수사권을 없애자는 것”이라며 “간첩이나 종북 세력에 날개를 달아주는 ‘간첩 자유활동법’을 만들자는 것과 마찬가지”라고 목소리를 높였다.

그는 여야가 대립하는 쟁점 법안은 국회 재적의원 5분의 3 이상의 찬성을 얻어야 통과시킬 수 있도록 한 국회선진화법과 관련, “국회의원 편하자고 나라를 망하게 하자는 법”이라고 정면 비판했다.

그는 “국회선진화법은 야당 또는 소수당이 이 제도를 악용하지 않는다는 전제를 깔 때 정상적으로 돌아갈 수 있는 정치적 장치”라며 “국정원 개혁을 각종 민생법안 처리의 조건으로 내세우는 민주당의 행태를 지켜보면 이 제도가 오래 지속될 수 있을지 의문”이라고 말했다.

그는 선진화법 개정 문제를 두고 당내 갈등을 겪고 있는 것과 관련해선 “구태를 반복하는 야당의 정치적 행태에 맞춰 현실에 맞게 조정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이정호 기자 dolph@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