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교총과 17개 시도교총은 내년 6월 교육감 선거를 앞두고 후보의 교육경력 필수화, 시·도별 교육감 후보 단일화 등을 추진하기로 했다.

교총은 30일 서울 태평로 프레스센터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교육감의 교육경력 요건을 없앤 ‘지방교육자치에 관한 법률’ 재개정을 촉구했다. 교육감 후보 교육경력 요건은 1991년까지 20년 이상에서 1995년 15년, 1997년 5년으로 줄었고 2010년 법 개정에 따라 2014년부터 요건 자체가 삭제된다. 교총은 “교육경력 요건이 없으면 정당의 당리당략에 따라 시·도 교육이 흔들리고 교육의 본질은 뒷전으로 밀릴 것”이라고 강조했다.

교총은 내년 교육감 선거 때 시·도별 범교육계 후보 단일화를 적극 추진키로 했다. 지역별 ‘교육자치살리기범국민실천연대’(가칭)를 결성해 공개 토론회 세 차례와 여론조사를 거쳐 최다득표자를 단일 후보로 추대하기로 했다. 정당인·정치인 출신 교육감 후보를 지원하는 정당은 불신임 운동도 벌일 방침이다.

안양옥 교총 회장은 “전국교직원노동조합은 교육감 교육경력 부활에 동의하고 있지만 각론에서 차이가 있어 독자 후보를 낼 가능성이 있다”고 말했다.

강현우 기자 hkang@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