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류보다 면접" 채용시장 트렌드…기업31% 면접 강화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올 하반기 채용시장에서 면접 비중이 높아질 전망이다. 기업 10곳 중 3곳은 신입사원 채용 시 면접 비중을 높이거나 기준을 강화할 계획인 것으로 나타났다.
취업포털 사람인(www.saramin.co.kr)은 하반기 신입채용을 진행하는 199개 기업 인사담당자를 대상으로 실시한 '면접평가 강화 여부' 주제의 설문조사 결과를 1일 공개했다. 설문에 따르면 인사담당자 30.7%가 예년보다 면접을 강화하는 추세라고 응답했다.
이들 기업의 서류와 면접 평가 비중은 평균 1:2로 면접의 중요도가 서류 평가의 2배에 달했다. 지원자의 역량과 인성을 직접 평가할 수 있는 면접 비중을 높이고, 면접 절차도 깐깐하게 진행하는 기업들이 늘어나고 있다.
기업들이 강화하는 부분은 실무자 중심 면접(37.7%, 복수응답)이 가장 컸다. 인성평가 비중을 높이거나(34.4%) 면접 시간과 질문 수준 등을 조절해 심층면접을 실시하는 경우(32.8%)도 많았다. 프레젠테이션·토론 등 유형별 면접 실시(18%), 실습 등 실무평가 도입·확대(14.8%), 간부 중심 면접 진행(14.8%), 면접관 교육 강화(11.5%) 등이 뒤를 이었다.
면접을 강화하는 이유로는 '인재상에 맞는 인재가 필요해서'(54.1%)를 첫 번째로 꼽았다. '실무능력을 갖춘 인재를 뽑기 위해서'(41%) '인재 이탈 등 채용 실패를 줄이기 위해서'(34.4%) '서류만으로는 당락을 가르기 어려워서'(27.9%) 등의 응답이 이어졌다.
인성 분야 면접에선 밝고 긍정적인 성향(31.7%)과 열정적 태도(26.1%)를 중점적으로 봤다. 직무역량 면접의 경우 현 시점에서 가능한 직무수행 능력(61.3%)을 평가했다.
사람인 임민욱 홍보팀장은 "갈수록 기업의 면접 방식이 다양해지고 평가 비중도 높아지고 있다"며 "미리 목표 기업의 면접 방식과 평가 목적 등을 꼼꼼히 분석해 준비하는 자세가 필요하다"고 조언했다.
한경닷컴 김봉구 기자 kbk9@hankyung.com
기사제보 및 보도자료 open@hankyung.com
취업포털 사람인(www.saramin.co.kr)은 하반기 신입채용을 진행하는 199개 기업 인사담당자를 대상으로 실시한 '면접평가 강화 여부' 주제의 설문조사 결과를 1일 공개했다. 설문에 따르면 인사담당자 30.7%가 예년보다 면접을 강화하는 추세라고 응답했다.
이들 기업의 서류와 면접 평가 비중은 평균 1:2로 면접의 중요도가 서류 평가의 2배에 달했다. 지원자의 역량과 인성을 직접 평가할 수 있는 면접 비중을 높이고, 면접 절차도 깐깐하게 진행하는 기업들이 늘어나고 있다.
기업들이 강화하는 부분은 실무자 중심 면접(37.7%, 복수응답)이 가장 컸다. 인성평가 비중을 높이거나(34.4%) 면접 시간과 질문 수준 등을 조절해 심층면접을 실시하는 경우(32.8%)도 많았다. 프레젠테이션·토론 등 유형별 면접 실시(18%), 실습 등 실무평가 도입·확대(14.8%), 간부 중심 면접 진행(14.8%), 면접관 교육 강화(11.5%) 등이 뒤를 이었다.
면접을 강화하는 이유로는 '인재상에 맞는 인재가 필요해서'(54.1%)를 첫 번째로 꼽았다. '실무능력을 갖춘 인재를 뽑기 위해서'(41%) '인재 이탈 등 채용 실패를 줄이기 위해서'(34.4%) '서류만으로는 당락을 가르기 어려워서'(27.9%) 등의 응답이 이어졌다.
인성 분야 면접에선 밝고 긍정적인 성향(31.7%)과 열정적 태도(26.1%)를 중점적으로 봤다. 직무역량 면접의 경우 현 시점에서 가능한 직무수행 능력(61.3%)을 평가했다.
사람인 임민욱 홍보팀장은 "갈수록 기업의 면접 방식이 다양해지고 평가 비중도 높아지고 있다"며 "미리 목표 기업의 면접 방식과 평가 목적 등을 꼼꼼히 분석해 준비하는 자세가 필요하다"고 조언했다.
한경닷컴 김봉구 기자 kbk9@hankyung.com
기사제보 및 보도자료 open@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