與의원 "채동욱, 女정치인과 부적절한 관계"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여야 의원들 폭로전 '얼룩'
민주 "靑수석, 사생활 정보수집"
황 법무 "蔡 찍어내기 아니다"
민주 "靑수석, 사생활 정보수집"
황 법무 "蔡 찍어내기 아니다"
채동욱 전 검찰총장에 대한 긴급 현안질의는 여야 의원들 간 폭로전으로 얼룩졌다.
신경민 민주당 의원은 “6월 기소(검찰의 국정원 댓글사건 기소) 뒤 곽상도 당시 청와대 민정수석이 경찰 출신의 서천호 국가정보원 2차장에게 채 전 총장 사생활 자료를 요청했다”며 “서 차장은 ‘국정원이 재판과 수사를 받는 만큼 직접 하는 것은 곤란하다. 경찰 정보라인을 통해 사생활 정보를 수집하겠다’고 했다”고 주장했다.
그러면서 “8월 하순 이중희 청와대 민정비서관이 김광수 서울중앙지검 공안2부장에게 전화해 ‘총장 곧 날아간다. 곧 보도가 나올 것이다. 줄 똑바로 서라. 국가기록원(NLL 실종사건) 수사는 검찰총장에 보고하지 말고 청와대에 직보하라’고 얘기했다”고 했다. 이에 정홍원 국무총리와 황교안 법무부 장관은 모두 “전혀 듣지 못했다”고 답변했다.
김진태 새누리당 의원은 “채 전 총장과 (내연녀로 지목된) 임모씨의 관계가 틀어졌는데, 그 이유는 임씨가 채 전 총장과 모 여성 정치인 사이에 부적절한 관계가 있다고 의심했기 때문이라는 제보가 있다”고 주장했다.
이에 대해 배재정 민주당 대변인은 “많은 ‘카더라’ 통신을 들어봤지만 이 정도로 윤리도, 양심도 없는 소설을 듣기는 처음”이라고 말했다. 민주당 여성 의원들은 김 의원을 국회 윤리위원회에 제소키로 했다.
한편 황 법무부 장관은 이날 채 전 총장 사퇴 과정에서 ‘법무장관이 독립성을 지켜냈어야 하지 않느냐’는 이춘석 민주당 의원의 질문에 “의혹이 생겨 진상조사를 하는 것이지 누구를 찍어낸다, 이런 측면은 없다”며 “제가 잘못한 점이 명백히 있다면 거취를 분명히 하겠다. 그러나 검찰, 법무부가 적법하게 하는 일을 부당하게 문제삼아 정치적 논란으로 거취를 정해야 한다면 동의할 수 없다”고 했다.
민주당은 채 전 총장 사퇴 파문과 관련해 황 장관 해임건의안을 제출키로 결의하고 제출시기는 원내지도부에 일임했다.
김재후 기자 hu@hankyung.com
신경민 민주당 의원은 “6월 기소(검찰의 국정원 댓글사건 기소) 뒤 곽상도 당시 청와대 민정수석이 경찰 출신의 서천호 국가정보원 2차장에게 채 전 총장 사생활 자료를 요청했다”며 “서 차장은 ‘국정원이 재판과 수사를 받는 만큼 직접 하는 것은 곤란하다. 경찰 정보라인을 통해 사생활 정보를 수집하겠다’고 했다”고 주장했다.
그러면서 “8월 하순 이중희 청와대 민정비서관이 김광수 서울중앙지검 공안2부장에게 전화해 ‘총장 곧 날아간다. 곧 보도가 나올 것이다. 줄 똑바로 서라. 국가기록원(NLL 실종사건) 수사는 검찰총장에 보고하지 말고 청와대에 직보하라’고 얘기했다”고 했다. 이에 정홍원 국무총리와 황교안 법무부 장관은 모두 “전혀 듣지 못했다”고 답변했다.
김진태 새누리당 의원은 “채 전 총장과 (내연녀로 지목된) 임모씨의 관계가 틀어졌는데, 그 이유는 임씨가 채 전 총장과 모 여성 정치인 사이에 부적절한 관계가 있다고 의심했기 때문이라는 제보가 있다”고 주장했다.
이에 대해 배재정 민주당 대변인은 “많은 ‘카더라’ 통신을 들어봤지만 이 정도로 윤리도, 양심도 없는 소설을 듣기는 처음”이라고 말했다. 민주당 여성 의원들은 김 의원을 국회 윤리위원회에 제소키로 했다.
한편 황 법무부 장관은 이날 채 전 총장 사퇴 과정에서 ‘법무장관이 독립성을 지켜냈어야 하지 않느냐’는 이춘석 민주당 의원의 질문에 “의혹이 생겨 진상조사를 하는 것이지 누구를 찍어낸다, 이런 측면은 없다”며 “제가 잘못한 점이 명백히 있다면 거취를 분명히 하겠다. 그러나 검찰, 법무부가 적법하게 하는 일을 부당하게 문제삼아 정치적 논란으로 거취를 정해야 한다면 동의할 수 없다”고 했다.
민주당은 채 전 총장 사퇴 파문과 관련해 황 장관 해임건의안을 제출키로 결의하고 제출시기는 원내지도부에 일임했다.
김재후 기자 hu@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