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사업비가 3000억원에 이르는 충북 오송 KTX 역세권 개발사업이 최종 무산됐다. 이로써 2005년 10월 ‘오송신도시 건설 기본계획안’을 통해 시작됐던 오송 역세권 개발사업은 8년 만에 백지화됐다. 사업 무산 책임을 놓고 새누리당이 민주당 소속인 이시종 충북지사를 겨냥해 비판 수위를 높이고 있어 내년 6월 지방선거를 앞두고 핵심 쟁점으로 떠오를 전망이다.

이 지사는 3일 충북도청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부동산 경기침체와 개발 지역 땅값 상승으로 민간 사업자가 참여를 기피해 개발 사업이 무산됐다”며 “백방으로 뛰었지만 가능한 방법을 찾지 못했다”고 사과했다.

충북도는 앞서 지난달 27일 오송 역세권 개발 우선협상대상 심의위원회를 열고 공모에 응한 컨소시엄 두 곳의 사업계획에 대해 부적격 판정을 내렸다. 미분양 용지 인수나 채무 보증, 공개경쟁 없는 시공권 제공 등 민간사업자들의 요구를 받아들일 수 없다는 이유에서다.

충북개발공사는 지난해 12월부터 올해 3월까지 두 차례 민간사업자를 공모했지만 적격자를 선정하지 못했다. 이에 충북도는 전액 민자 개발 방식에서 청주시와 청원군이 사업비의 51%를 투자하는 부분 공영 개발 방식으로 전환해 8월7일부터 지난달 6일까지 나머지 49%를 투자할 사업자를 찾았지만 이마저도 실패로 끝났다. 사업이 무산됨에 따라 오송 역세권 지역은 12월 개발사업 구역에서 해제된다.

부동산 업계는 급등한 개발지역 땅값과 토지주들에게 제공해야 할 이주자 택지 부담이 사업 추진의 발목을 잡았다고 보고 있다.

2005년 10월 오송 신도시 건설 기본계획안이 나오자마자 땅값이 치솟았다. 이듬해 3월 인근 지역 공시지가 상승률이 4~7%에 그칠 때 이 일대 상승률은 80%에 달했다. 이 때문에 개발지역 주변 땅값은 주요 정부 부처가 이전한 세종시 조성원가(3.3㎡당 210만원)보다 40% 이상 비싼 3.3㎡당 297만원 수준까지 급등했다. 결국 개발지역 이주자 택지 비용만 150억~160억원에 달할 정도로 사업성이 악화됐다.

이에 대해 개발지역 주민들은 반발하고 있다. 최병우 오송 역세권 원주민대책위원회 위원장은 “역세권 개발이 이대로 주저앉으면 주민들의 3분의 1은 이자 상환도 못해 경매로 집을 빼앗기는 상황”이라고 지적했다.

그는 이어 “역세권 개발 계획이 발표된 뒤 부동산을 담보로 대출을 받았던 주민이 상당히 많아 당장 이자와 원금 상환을 눈앞에 두고 고충이 심할 것으로 우려된다”고 말했다. 그는 “주민들이 위태위태한 처지에 놓인 만큼 마을로 돌아가 협의한 뒤 개발사업 무산에 대한 대책을 마련하겠다”고 덧붙였다.

청주=임호범 기자 lhb@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