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로 열 식당의 열쇠까지 이미 갖고 있지만 연방정부의 셧다운(일부 폐쇄) 때문에 식당을 열 수도, 새로운 직원을 채용할 수도 없게 됐네요.”

미국 필라델피아에서 자신의 두 번째 프랑스 레스토랑을 열기 위해 준비하고 있는 샬럿 칼멜스는 요즘 살얼음판을 걷는 기분이다. 그는 펜실베이니아주의 한 지역 은행에서 5만달러의 사업 자금을 대출받기로 했지만 돈을 빌리기 위해 몇 달을 더 기다려야 할지 알 수 없는 처지가 됐다. 대출을 보증할 미국 중소기업청(SBA) 기능이 셧다운 때문에 폐쇄됐기 때문이다.

미국 연방정부의 셧다운 사태가 2주째로 접어들면서 실물 경제에 본격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다. SBA 등 정부 보증에 의존해온 중소기업 대출이 줄어들고 있고, 국세청이 폐쇄되면서 주택담보대출(모기지) 시장도 위축되고 있다. 돼지, 면화 등 농축산물의 거래량도 눈에 띄게 줄어들었다.

중소기업의 돈줄이 마르고 있는 건 셧다운의 영향으로 SBA의 서류작업이 늦어지고 있기 때문이다. 이번 주에 셧다운 사태가 마무리된다고 하더라도 그동안 지연된 업무 때문에 칼멜스의 식당 같은 소기업들은 최소 6주를 더 기다려야 대출받을 수 있다. 이에 일부에서는 당장 급전이 필요한 중소기업들이 연 금리가 100%에 육박하는 사채 시장에 손을 벌릴 가능성도 있다고 우려하고 있다. SBA는 그동안 중소기업들이 은행으로부터 싸게 돈을 빌릴 수 있도록 보증을 서왔다. SBA를 활용하면 5.5~6.5%의 낮은 금리로 돈을 빌릴 수 있다. 보증을 받지 않은 다른 은행들의 금리(최대 8%)보다 훨씬 낮은 수준이다.

주택담보대출 시장도 위축되고 있다. 대출심사 과정에서 세금 정보를 제공해야 하는 국세청이 셧다운에 들어갔기 때문이다. 블룸버그통신은 특히 국세청의 세금 정보가 없으면 대출심사가 진행되지 않는 점보론(41만7000달러 이상 주택담보대출)의 경우 은행들이 더 이상 대출 신청을 받지 않고 있다고 전했다.

미국 농무부(USDA)도 공무원들을 휴가 보내면서 돼지 등 가축 가격을 공시하지 못하고 있다. 이에 USDA 가격을 기준으로 거래해온 사육업자와 도축업자들이 거래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시카고상업거래소의 돼지 선물거래량이 셧다운 이전에 비해 40% 줄어드는 등 농가들의 경제적 어려움이 커지고 있다.

뉴욕=유창재 특파원 yoocool@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