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한길 민주당 대표(왼쪽)가 11일 열린 최고위원회의에서 전병헌 원내대표와 얘기를 나누고 있다. /연합뉴스
김한길 민주당 대표(왼쪽)가 11일 열린 최고위원회의에서 전병헌 원내대표와 얘기를 나누고 있다. /연합뉴스
새누리당은 2007년 남북 정상회담 대화록 수사와 관련, ‘짜맞추기’라고 한 문재인 민주당 의원에 대해 “대화록 실종 장본인의 궤변”이라고 맹비난했다.

최경환 새누리당 원내대표는 11일 “친노(친노무현) 진영의 궤변이 점입가경”이라며 “민주당 지도부는 북방한계선(NLL) 정쟁 종식을 외치는데 문 의원과 친노 진영은 NLL 논란의 핵심과 본질을 비켜가는 말도 안 되는 궤변으로 논란을 증폭시키고 있다”고 비판했다.

김기현 정책위의장도 “이번 대화록 폐기는 사초 폐기 이외에도 사초를 이관하지 않은 은닉, 사초를 봉하마을로 가져간 절취, 국가기밀을 사저로 가져간 국가기밀 유출, 국민을 기만한 사기 등 5대 불법행위”라며 야당을 향해 “뻔뻔하다”고 공격했다.

새누리당 지도부가 이날 공세를 확대한 것은 전날 김기춘 청와대 비서실장과 함께 한 저녁자리에서 대화록 관련 검찰 수사를 신속히 해야 한다는 데 의견을 모은 것과 무관치 않다는 분석이다.

민주당은 정쟁을 다시 끌어오려한다며 새누리당과 청와대를 비판했다. 김한길 대표는 “민주주의 후퇴와 공약파기·민생위기로 인한 민심이반을 (청와대와 새누리당이) 정쟁으로 덮으려는 시도”라고 규정했다. 그러면서 “청와대와 새누리당이 유도하는 ‘정쟁국감’은 반칙의 정치이고, 국민에게 무겁게 약속한 대선공약을 무더기로 파기한 것은 불신의 정치”라고 했다. 신경민 최고위원도 “여당 정치인들은 어려운 상황마다 이를 호도하려고 계속 NLL 문제를 꺼내 야당에 종북 프레임을 덮어씌우려 한다”며 “이는 익숙한 선정성 물레방아 전술”이라고 비판했다.

다만 민주당은 ‘정쟁 대 민생’ 구도로 대화록 파문에서 한발 비켜서 국감에 치중한다는 전략이다. 정쟁 중단을 요구하는 등 정면 대응을 피하는 것은 일종의 ‘대화록 파문 출구전략’이라는 지적이다. 이날 국회에서 국감 출정식을 한 것도 이 같은 맥락이다.

김재후 기자 hu@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