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와 노원구가 하계동에 2016년까지 건설 예정인 ‘제로 에너지 단지’ 조감도.
서울시와 노원구가 하계동에 2016년까지 건설 예정인 ‘제로 에너지 단지’ 조감도.
'제로 에너지 주택단지' 국내 첫선
냉·난방과 조명 등에 필요한 에너지 비용이 전혀 들지 않는 이른바 ‘에너지 제로 주택단지’가 2016년까지 건설된다. 영국 등 선진국에서는 상당히 대중화됐지만 국내에서는 최초다.

14일 서울시와 노원구, 명지대 컨소시엄은 노원구 하계동 251의 9 일대에 122가구 규모의 ‘제로 에너지단지’를 건설한다고 발표했다.

건물을 지을 때 첨단 에너지 절약기술을 적용해 실내 에너지를 50% 절감한다. 나머지 50%는 태양광 등 신재생에너지로 공급한다. 냉·난방, 조명, 환기 등에서 기존 화석에너지는 전혀 사용하지 않는다.

우선 집안의 열이 밖으로 새지 않도록 벽체 두께를 50㎝로 두껍게 하고, 창문도 3중창으로 시공한다. 집안에서 사용된 열은 회수해 실내공기 정화 등에 활용한다. 단지에서 필요한 전기는 지열 태양광 온천수 목재펠릿(톱밥 등 친환경 연료) 등으로 생산한다.

단지에는 7층 이하 저층 아파트 106가구, 연립주택 9가구, 단독 2가구, 땅콩주택(다세대주택, 4가구) 등 다양한 주택이 지어진다. 김성환 노원구청장은 “임대보증금 1억원에 4~6년씩 거주하는 서민임대주택단지로 조성할 것”이라며 “입주대상자는 신혼부부, 대학생, 1~2인가구 등 도시근로자가 우선”이라고 밝혔다.

이명주 명지대 교수는 “제로 에너지단지 입주자들이 부담할 연간 에너지 비용은 인근 국민임대주택(전용 59㎡, 78만7000원)의 19%인 18만원(월간 1만5000원)으로 줄어들 것”이라고 설명했다.

한편 이 사업은 국토교통부와 국토교통과학기술진흥원이 연구개발(R&D) 사업으로 기획했고, 서울시와 노원구가 맡아서 시행하게 됐다. 전체 사업비는 442억원이고, 240억원은 정부출연금과 기업분담금으로 충당된다. 설계는 제드엠제이 건축사사무소, 시공은 KCC건설이 맡았다.

문혜정 기자 selenmoon@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