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벨경제학상 美 파머·핸슨·실러…자산가격 장기예측 공로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올해 노벨경제학상은 미국 시카고대의 유진 파머(74)·라스 피터 핸슨(61) 교수, 로버트 실러 미 예일대 교수(67) 등 미국인 경제학자 3명에게 돌아갔다.
스웨덴 왕립과학원 노벨위원회는 14일(현지시간) 자산 가격의 경험적 연구에 기여한 공로를 인정해 이들 3인을 공동 수상자로 결정했다고 발표했다. 스웨덴 왕립 아카데미는 “이들 수상자는 주식이나 채권 시장에서 당장 며칠 뒤의 가격은 맞힐 수 없지만 3~5년 정도의 먼 미래에 대한 예측을 할 수 있도록 길을 터줬다”며 수상 이유를 설명했다.
파머 교수는 ‘효율적 시장이론’의 주창자로, 시장의 효율성을 강조하고 정부의 개입을 반대하는 시카고학파의 대표 주자다. 2007년부터 유력한 경제학상 후보로 지목됐지만 번번이 수상엔 실패했다.
핸슨 교수는 거시경제학자로서 금융과 실물경제 사이의 연관관계를 분석하는 데 통달했다는 평가를 받는다. 경제학 측정 모델인 ‘GMM’으로 가장 유명하다. 노동 경제학과 국제 금융, 거시경제 등 경제학의 폭넓은 분야에 활용되고 있다.
실러 교수는 세계적으로 유명한 재무관리 분야 전문가다. 특히 주택경기에 관한 한 미국 최고 전문가로 꼽힌다. 2000년 초 정보기술(IT) 거품 붕괴를 정확히 예측해 세계적인 명성을 얻었다.
김유미 기자 warmfront@hankyung.com
스웨덴 왕립과학원 노벨위원회는 14일(현지시간) 자산 가격의 경험적 연구에 기여한 공로를 인정해 이들 3인을 공동 수상자로 결정했다고 발표했다. 스웨덴 왕립 아카데미는 “이들 수상자는 주식이나 채권 시장에서 당장 며칠 뒤의 가격은 맞힐 수 없지만 3~5년 정도의 먼 미래에 대한 예측을 할 수 있도록 길을 터줬다”며 수상 이유를 설명했다.
파머 교수는 ‘효율적 시장이론’의 주창자로, 시장의 효율성을 강조하고 정부의 개입을 반대하는 시카고학파의 대표 주자다. 2007년부터 유력한 경제학상 후보로 지목됐지만 번번이 수상엔 실패했다.
핸슨 교수는 거시경제학자로서 금융과 실물경제 사이의 연관관계를 분석하는 데 통달했다는 평가를 받는다. 경제학 측정 모델인 ‘GMM’으로 가장 유명하다. 노동 경제학과 국제 금융, 거시경제 등 경제학의 폭넓은 분야에 활용되고 있다.
실러 교수는 세계적으로 유명한 재무관리 분야 전문가다. 특히 주택경기에 관한 한 미국 최고 전문가로 꼽힌다. 2000년 초 정보기술(IT) 거품 붕괴를 정확히 예측해 세계적인 명성을 얻었다.
김유미 기자 warmfront@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