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용등급 'AAA', 전세계 11개국 뿐…아시아선 싱가포르 유일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세계 3대 신용평가사인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와 무디스, 피치에서 최상위 신용등급을 유지하고 있는 국가는 호주 등 11개국뿐이라고 마켓워치가 16일(현지시간) 보도했다.
3대 신용평가사에서 최상위 등급을 받은 국가는 호주 캐나다 덴마크 핀란드 독일 룩셈부르크 네덜란드 노르웨이 싱가포르 스웨덴 스위스 등 11개국이다. 미국 영국 프랑스 등 3개국은 최상위 등급을 유지하다 최근 2년 새 3대 신용평가사 중 한 곳 이상으로부터 신용등급이 강등됐다.
호주는 안정적인 경제성장률과 낮은 정부 지출로 최상위 등급을 받았다. 호주는 지난해 3.7%의 경제성장률을 기록하는 등 지난 20년 동안 평균 3.5%의 성장률을 유지하고 있다. 국내총생산(GDP) 대비 정부 부채 비율은 27.9%로 세계 최저 수준이다.
캐나다 역시 최상위 등급을 유지하고 있다. 토론토와 밴쿠버를 중심으로 정보기술(IT) 기업이 빠르게 성장하고 있으며 석유, 천연가스 등 막대한 양의 에너지 자원을 미국에 수출하고 있다.
아시아에서 유일하게 최상위 등급을 받고 있는 국가는 싱가포르다. 세계은행에 따르면 싱가포르는 가장 기업 친화적인 국가 중 하나로 세계 무역의 중심지이자 기술 센터의 역할을 하고 있다.
미국은 2011년 S&P로부터 신용등급을 한 단계 강등당했고, 최근 피치도 등급 하락을 경고했다.
한국의 신용등급은 S&P 무디스 피치가 각각 ‘A+’ ‘Aa3’ ‘AA-’로 평가하며 세 회사 모두 한국의 신용 전망을 ‘안정적’으로 유지하고 있다.
박병종 기자 ddak@hankyung.com
3대 신용평가사에서 최상위 등급을 받은 국가는 호주 캐나다 덴마크 핀란드 독일 룩셈부르크 네덜란드 노르웨이 싱가포르 스웨덴 스위스 등 11개국이다. 미국 영국 프랑스 등 3개국은 최상위 등급을 유지하다 최근 2년 새 3대 신용평가사 중 한 곳 이상으로부터 신용등급이 강등됐다.
호주는 안정적인 경제성장률과 낮은 정부 지출로 최상위 등급을 받았다. 호주는 지난해 3.7%의 경제성장률을 기록하는 등 지난 20년 동안 평균 3.5%의 성장률을 유지하고 있다. 국내총생산(GDP) 대비 정부 부채 비율은 27.9%로 세계 최저 수준이다.
캐나다 역시 최상위 등급을 유지하고 있다. 토론토와 밴쿠버를 중심으로 정보기술(IT) 기업이 빠르게 성장하고 있으며 석유, 천연가스 등 막대한 양의 에너지 자원을 미국에 수출하고 있다.
아시아에서 유일하게 최상위 등급을 받고 있는 국가는 싱가포르다. 세계은행에 따르면 싱가포르는 가장 기업 친화적인 국가 중 하나로 세계 무역의 중심지이자 기술 센터의 역할을 하고 있다.
미국은 2011년 S&P로부터 신용등급을 한 단계 강등당했고, 최근 피치도 등급 하락을 경고했다.
한국의 신용등급은 S&P 무디스 피치가 각각 ‘A+’ ‘Aa3’ ‘AA-’로 평가하며 세 회사 모두 한국의 신용 전망을 ‘안정적’으로 유지하고 있다.
박병종 기자 ddak@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