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격진료 실험 5년…영양군 오지 '의료 개벽'…"산골마다 큰 병원 있는 셈이죠"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입법 갈등' 현장 가 보니
경북 영양군 일월면 용화리는 안동시에서 자동차를 타고 2시간30분을 들어가야 나오는 산골 오지마을이다. 이곳에서 고추농사를 짓는 박제용 씨(61)는 10년째 당뇨병을 앓고 있다. 박씨는 매주 한 번씩 집에서 걸어서 3분 거리인 용화보건진료소에 간다.
지난 18일 오후, 박씨가 용화보건진료소에서 원격진료 시스템 기기 앞에 앉자 담당 간호사인 이은영 씨는 박씨의 혈당과 혈압을 잰 뒤 입력했다. 이곳에서 70여㎞ 떨어진 안동의료원 의사가 나온 화면은 선명했고 음성도 끊기지 않았다. 의사와 환자는 10분여간 진료를 이어갔다.
박씨는 “병원에 가 의사 얼굴을 보며 진료를 받는 것과 다른 게 없다”며 “우리 동네에 큰 병원이 하나 들어온 것 같다”고 말했다. 그는 “원격진료가 도입되기 전에는 3분 정도 진료를 받으러 하루에 세 대 다니는 시외버스를 타고 2시간30분이나 들여 안동까지 가야 했다”며 “세금 낸 것이 아깝지 않다”고 덧붙였다.
2009년 원격진료 시범사업을 시작한 영양군은 지난 9월 말 기준으로 1만8266명이 사는 산간오지다. 65세 이상 노인 인구 비중은 31.3%로 전국에서 두 번째로 높다. 하지만 이 지역에는 종합병원은 물론 특정 질환을 다루는 전문병원조차 없다. 당뇨나 고혈압, 관절염 등 노인성 중증 질환을 앓고 있는 영양군 주민은 제대로 된 진료를 받기 어려웠다.
원격진료는 국회에서 여야가 첨예하게 대립하는 ‘갈등 이슈’의 하나다. 시범사업으로 운영되는 영양군 원격진료에 대한 주민들의 만족도는 매우 높았다. 영양군청과 보건소가 지난 5월 182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한 결과 응답 환자의 81.3%가 만족(매우 만족 15.9%, 만족 65.4%)했다. ‘보통’이라는 응답은 18.7%였고 ‘불만족’은 아예 없었다.
이경연 영양군보건소 원격진료 담당 주무관은 “원격진료가 시범사업으로 진행되다 보니 2·3차 병원 진료비나 약품 배달비 등 해결해야 할 문제가 많다”며 “이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6000명이 넘는 영양군 주민들이 2011년 원격의료를 전면 허용해 달라는 서명서를 내기도 했다”고 말했다. 정부는 산간벽지 등 ‘의료 소외 지역’에 원격진료를 공식 허용하는 의료법 개정안을 올해 국회에 제출할 계획이다.
영양=은정진 기자 silver@hankyung.com
지난 18일 오후, 박씨가 용화보건진료소에서 원격진료 시스템 기기 앞에 앉자 담당 간호사인 이은영 씨는 박씨의 혈당과 혈압을 잰 뒤 입력했다. 이곳에서 70여㎞ 떨어진 안동의료원 의사가 나온 화면은 선명했고 음성도 끊기지 않았다. 의사와 환자는 10분여간 진료를 이어갔다.
박씨는 “병원에 가 의사 얼굴을 보며 진료를 받는 것과 다른 게 없다”며 “우리 동네에 큰 병원이 하나 들어온 것 같다”고 말했다. 그는 “원격진료가 도입되기 전에는 3분 정도 진료를 받으러 하루에 세 대 다니는 시외버스를 타고 2시간30분이나 들여 안동까지 가야 했다”며 “세금 낸 것이 아깝지 않다”고 덧붙였다.
2009년 원격진료 시범사업을 시작한 영양군은 지난 9월 말 기준으로 1만8266명이 사는 산간오지다. 65세 이상 노인 인구 비중은 31.3%로 전국에서 두 번째로 높다. 하지만 이 지역에는 종합병원은 물론 특정 질환을 다루는 전문병원조차 없다. 당뇨나 고혈압, 관절염 등 노인성 중증 질환을 앓고 있는 영양군 주민은 제대로 된 진료를 받기 어려웠다.
원격진료는 국회에서 여야가 첨예하게 대립하는 ‘갈등 이슈’의 하나다. 시범사업으로 운영되는 영양군 원격진료에 대한 주민들의 만족도는 매우 높았다. 영양군청과 보건소가 지난 5월 182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한 결과 응답 환자의 81.3%가 만족(매우 만족 15.9%, 만족 65.4%)했다. ‘보통’이라는 응답은 18.7%였고 ‘불만족’은 아예 없었다.
이경연 영양군보건소 원격진료 담당 주무관은 “원격진료가 시범사업으로 진행되다 보니 2·3차 병원 진료비나 약품 배달비 등 해결해야 할 문제가 많다”며 “이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6000명이 넘는 영양군 주민들이 2011년 원격의료를 전면 허용해 달라는 서명서를 내기도 했다”고 말했다. 정부는 산간벽지 등 ‘의료 소외 지역’에 원격진료를 공식 허용하는 의료법 개정안을 올해 국회에 제출할 계획이다.
영양=은정진 기자 silver@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