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국인들의 국내 주식 보유 비중이 6년여 만에 최고 수준으로 증가했다.

외국인 투자자는 37거래일째 '바이 코리아(Buy Korea)'를 외치며 국내 증시 개장 이래 최장 기간 순매수를 기록했다. 전문가들은 외국인들의 순매수 행진이 당분간 지속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22일 금융감독원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지난 18일까지 유가증권(코스피)·코스닥시장의 전체 시가총액 1324조4925억 원 중 외국인 보유액은 438조7382억 원으로 전체의 33.1%에 달했다.

유가증권시장의 외국인 보유액은 전체 시총 1201조6487억 원 가운데 426조6559억원으로 35.5%를 차지했다. 코스닥시장은 122조8438억 원 중 12조823억원으로 9.8%였다.

유가증권시장과 코스닥시장의 외국인 보유 비중은 2007년 7월 25일(33.2%) 이후 6년 3개월 만에 최대다.

유가증권시장에서 외국인은 8월 23일부터 전날(21일)까지 37거래일째 주식을 사들였다. 순매수 규모는 12조6000억 원을 넘는다. 이는 증시 개장 이래 가장 긴 외국인 순매수 기간이다.

외국인 주식 보유 비중은 8월 말 31.8%로 커진 데 이어 지난달 말 32.2%로 확대됐고 이달 17일 처음으로 33% 선을 넘었다.

삼성전자의 경우 8월 초 47.56%였던 외국인 보유 비중이 이달 18일 현재 49.27%로 커졌고 현대차는 같은 기간에 44.43%에서 46.38%로 늘었다.

국내 증시에 대한 외국인의 보유 비중 확대는 당분간 지속될 가능성이 높다. 국내외 경기 회복 기대가 커지는데다 한국 증시의 밸류에이션(가치평가)이 저평가돼 있어 그만큼 매력이 더 부각되고 있어서다.

이병화 삼성증권 연구원은 "외국인 주도의 유동성 랠리가 향후 지속될 가능성이 높다" 며 "유로존(유로화 사용국)과 중국의 경기가 살아나면서 글로벌 경기회복에 대한 자신감이 강해졌고, 신흥시장 내에서 차별화된 모멘텀을 보유하고 있는 한국시장의 매력도 여전히 높다"고 분석했다.

한경닷컴 이민하 기자 minari@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