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수현 '위증' 논란, 불통·쪽지 때문이라는데…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금융가 In&Out
지난 18일 국회 정무위원회의 금융감독원에 대한 국정감사에서 벌어진 최수현 금감원장의 ‘위증’ 논란은 청와대, 금융위원회, 금감원, 산업은행 간에 의사 소통이 제대로 되지 않아 벌어진 일로 나타났다.
22일 금융감독 당국 관계자들과 김기식 민주당 의원실에 따르면 김 의원은 국감을 앞두고 금감원과 산업은행에 각각 ‘조원동 청와대 경제수석, 최 원장, 홍기택 산은금융지주 회장이 만나 동양그룹에 시간 여유를 주자는 논의를 했느냐’는 질의서를 보냈다.
같은 질의서에 대해 금감원은 답변하지 않았다. 산업은행은 ‘회동은 있었으나 시간 여유를 주자는 내용은 협의하지 않았다’는 답변서를 제출했다. 9월15일 신제윤 금융위원장 등이 참석한 가운데 열린 청와대 서별관회의에 대한 내용이다. 이 답변서는 지난 18일 국감에서 최 원장의 위증 논란을 불붙게 한 결정적인 증거로 활용됐다.
문제는 이 답변서의 존재를 금융위가 알고 있었다는 점이다. 금융위 관계자는 “산업은행에서 금융위 국감 전 이 같은 내용으로 답변서를 제출했다고 문서를 보내왔다”고 말했다. 그러나 산업은행은 금감원에는 이 답변서를 보내지 않았다. 금감원 관계자는 “지난 14일 산업은행 담당자와 금감원 직원이 김 의원의 질의서를 받았는지에 대해 통화한 것이 전부”라고 했다. 최 원장은 산업은행 답변서의 존재를 모른 채로 국감에 임했던 셈이다.
이날 국감 중간에 청와대에서 최 원장에게 전달한 ‘동양 논의를 하지 않았다고 하는 게 좋겠다’는 쪽지도 최 원장이 무리한 발언을 하게 만드는 배경이 됐다. 금융감독 당국 관계자는 “여러 가지 미스커뮤니케이션이 겹치다 보니 위증 논란까지 확대됐다”고 지적했다.
이상은 기자 selee@hankyung.com
22일 금융감독 당국 관계자들과 김기식 민주당 의원실에 따르면 김 의원은 국감을 앞두고 금감원과 산업은행에 각각 ‘조원동 청와대 경제수석, 최 원장, 홍기택 산은금융지주 회장이 만나 동양그룹에 시간 여유를 주자는 논의를 했느냐’는 질의서를 보냈다.
같은 질의서에 대해 금감원은 답변하지 않았다. 산업은행은 ‘회동은 있었으나 시간 여유를 주자는 내용은 협의하지 않았다’는 답변서를 제출했다. 9월15일 신제윤 금융위원장 등이 참석한 가운데 열린 청와대 서별관회의에 대한 내용이다. 이 답변서는 지난 18일 국감에서 최 원장의 위증 논란을 불붙게 한 결정적인 증거로 활용됐다.
문제는 이 답변서의 존재를 금융위가 알고 있었다는 점이다. 금융위 관계자는 “산업은행에서 금융위 국감 전 이 같은 내용으로 답변서를 제출했다고 문서를 보내왔다”고 말했다. 그러나 산업은행은 금감원에는 이 답변서를 보내지 않았다. 금감원 관계자는 “지난 14일 산업은행 담당자와 금감원 직원이 김 의원의 질의서를 받았는지에 대해 통화한 것이 전부”라고 했다. 최 원장은 산업은행 답변서의 존재를 모른 채로 국감에 임했던 셈이다.
이날 국감 중간에 청와대에서 최 원장에게 전달한 ‘동양 논의를 하지 않았다고 하는 게 좋겠다’는 쪽지도 최 원장이 무리한 발언을 하게 만드는 배경이 됐다. 금융감독 당국 관계자는 “여러 가지 미스커뮤니케이션이 겹치다 보니 위증 논란까지 확대됐다”고 지적했다.
이상은 기자 selee@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