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승환 국토교통부 장관이 23일 서울 장충동 반얀트리호텔에서 열린 ‘한경 밀레니엄포럼’에서 부동산·건설 정책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 오른쪽부터 정규재 한국경제신문 논설실장, 서 장관, 윤창현 한국금융연구원장, 김기웅 한국경제신문 사장.  김병언 기자 misaeon@hankyung.com
서승환 국토교통부 장관이 23일 서울 장충동 반얀트리호텔에서 열린 ‘한경 밀레니엄포럼’에서 부동산·건설 정책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 오른쪽부터 정규재 한국경제신문 논설실장, 서 장관, 윤창현 한국금융연구원장, 김기웅 한국경제신문 사장. 김병언 기자 misaeon@hankyung.com
“주택거래를 늘려서 부동산시장이 조속히 정상화되도록 하고, 장기 공공임대주택을 2017년까지 선진국 수준인 8%로 확대해 서민 주거가 안정되도록 할 것입니다.”

서승환 국토교통부 장관은 한국경제신문과 현대경제연구원이 23일 서울 장충동 반얀트리호텔에서 개최한 ‘한경 밀레니엄포럼’에서 “주택시장 정상화와 보편적 주거복지 실현이 박근혜 정부 주택정책의 핵심 축”이라며 이에 대한 실행을 강조했다.

그는 또 “부동산 시장 정상화를 위해 취득세 영구 인하와 양도소득세 중과 폐지 등 관련 법안들의 정기국회 통과가 절실하다”고 지적했다. 아울러 시장 안정을 위한 추가 대책들도 내부적으로 검토 중이며, 확정되는 대로 발표할 예정이라고 덧붙였다.

최근 정부가 대도시 주변에 판교테크노밸리와 같은 도시첨단산업단지를 조성키로 한 것이 국토 균형 발전을 저해할 수 있다는 지적에 대해서는 “수도권은 기존 공장용지를 대체하거나 총량 규제를 적용하기 때문에 규제 완화가 아니다”며 “도시첨단산업단지는 혁신도시와 중복 지정이 가능한 만큼 오히려 지방 발전의 촉매제가 될 수도 있다”고 말했다.

[한경 밀레니엄포럼] 서승환 국토교통부 장관 "장기임대, 선진국 수준인 8%까지 확대…서민 주거난 해소"

▷윤창현 한국금융연구원장=미국은 집값 폭락으로 개인이 내놓은 주택을 임대주택업체들이 사들여 임대를 놓고 있다. 이들 주택의 임대관리는 전문업체들이 맡아서 한다. 한국도 이 같은 기업형 주택임대업을 육성해야 한다는 의견이 많다.

▷서 장관=공감한다. 임대료 인상(연 5% 이하) 등 일정한 규제를 받는 민간임대사업자에 대해 각종 세제 혜택을 주는 ‘준공공임대주택’ 제도를 도입하는 등 민간임대업이 활성화되도록 제도를 개선하겠다.

▷이상만 중앙대 교수=주택담보대출 이자 상환 등으로 어려움을 겪는 이른바 ‘하우스푸어’에 대한 정부의 지원이 도덕적 해이를 부추긴다는 지적도 있다. 하지만 이들을 방치할 경우 가계 소비 감소로 내수 부진이 심화된다는 우려도 나온다.

▷서 장관=정부의 하우스푸어대책은 개인의 투자 실패를 공공이 지원하는 게 아니다. 주택거래를 활성화해 하우스푸어들이 집을 팔고 나갈 수 있는 퇴로를 열어주자는 게 핵심이다.

▷김주현 현대경제연구원장=국내 주택공급 비중은 공공이 13%, 민간이 87%를 맡고 있다. 민간주택에서는 임대료 등 각종 임대 조건을 놓고 집주인과 세입자들의 갈등이 많다.

▷서 장관=주택임대시장의 사회적 갈등 비용을 줄이려면 선진국처럼 ‘기업형 임대사업자’를 육성해야 한다. 인센티브 등 대책 마련에 힘쓰겠다.

▷윤 원장=정부가 공공임대주택 공급 확대를 추진 중인데, 장기 공급계획을 세워서 추진하면 좋겠다.

▷서 장관=장기계획이 있다. 한국의 10년 이상 장기공공임대주택 비율은 5%로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평균인 11%에 못 미친다. 2017년 8%까지 올리는 게 1차 목표다. 장기적으로는 10%를 넘길 예정이다.

▷오종남 서울대 교수=한국은 가구소득 대비 주택가격 비율(PIR)이 미국 등 선진국보다 높은 편이어서 부모들에게 손을 벌리지 않고서는 내집 마련이 어렵다.

▷서 장관=PIR은 어떤 기준을 대입하느냐에 따라 달라지는 부분이 있어서 한마디로 단정짓기 어렵다. PIR보다는 주택금융 활성화가 중요하다. 최근 정부가 내놓은 공유형 모기지같이 실수요자들의 내집 마련을 지원하는 주택금융 상품이 잘 갖춰져 있으면 10년 이상 장기 모기지로 집을 살 수도 있다. 주택금융이 잘 돌아갈 수 있는 방향으로 주택 정책을 마련할 방침이다.

▷이인실 서강대 교수=정부가 추진하는 ‘생애주기형 복지’의 핵심 중 하나는 부동산 정책이다. 특히 집 한 채가 거의 유일한 재산인 베이비붐 세대(1955~1963년생)의 걱정이 크다.

▷서 장관=다주택자 양도소득세 중과 폐지와 분양가 상한제 신축 운영 등 4·1 부동산 대책과 8·28 전·월세 대책에 포함된 핵심 법안들의 국회 통과가 이뤄지면 주택시장 정상화가 가능할 것으로 생각한다. 추가적으로 필요한 조치들도 현재 내부적으로 검토 중이다. 확정되는 대로 발표할 예정이다.

▷서근우 신용보증기금 이사장=수도권 공공기관의 지방 혁신도시 이전이 본격화되고 있다. 혁신도시 주거여건과 업무 효율성을 걱정하는 목소리도 있다.

▷서 장관=공공기관이 지방으로 내려가는 문제는 큰 어려움은 없다. 하지만 지금부터가 더 큰 문제다. 혁신도시 거주민들의 삶의 질을 높이고, 산·학·연 클러스터 조성 등 각각의 도시를 어떻게 차별화해서 개발해나갈지가 중요하기 때문이다. 수도권과 세종시의 교통연계 문제도 대책을 마련하겠다.

▷김종훈 한미글로벌 회장=관광산업 활성화 차원에서 카지노를 포함한 복합리조트 사업과 강 주변 수변공간 개발을 적극적으로 추진하자는 주장이 많다.

▷서 장관=문화체육관광부 등 관련 부처와 협의가 필요하지만, (카지노는) 경제적인 이익만으로 허가 여부를 결정하기는 어렵다. 수변공간의 경우 개발 가능한 곳은 개발하는 게 맞다. 부산 에코델타시티와 구리 월드디자인시티 등도 이 같은 차원에서 추진 중이다.

김보형 기자 kph21c@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