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철도공사(코레일)가 추진하는 5개 민자 역사 건립 사업이 10년 넘게 표류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국회 국토교통위원회 소속 이윤석 민주당 의원(전남 무안)은 23일 코레일에서 제출받은 국정감사 자료를 바탕으로 창동·노량진·천안·성북·안산중앙역 등 5개 민자 역사 개발이 제자리 걸음을 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이들 5개 역사는 사업 주관사를 선정한 지 9~17년이 지났는데도 여전히 인·허가 협의 단계를 벗어나지 못했거나(성북·안산중앙역), 공사 중단(창동역), 파산 절차(노량진역), 협약 무효(천안역) 등의 상태에 놓여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특히 노량진·창동·천안 등 3개 역사 사업에서만 코레일을 상대로 8건의 재판이 진행 중이어서 사업 재개가 쉽지 않은 형편이라고 이 의원은 밝혔다. 그는 “코레일이 주도해 선정한 사업 주관사의 문제로 5곳 모두 10여년째 표류 중이라는 사실은 코레일의 허술한 검증과 신중하지 못한 사업 추진 때문”이라며 “용산국제업무지구 개발 실패처럼 무분별한 개발사업 참여가 부메랑이 돼 돌아오고 있다”고 강조했다.

한편 정우택 새누리당 의원(충북 청주상당)이 한국철도시설공단에서 제출받은 ‘최근 7년간 철도건설사업 공기 연장 현황’ 자료에 따르면 47개 공구에서 공사 기간을 맞추지 못해 1930억원의 사업비가 증가한 것으로 드러났다.

정 의원은 “계획대로 공사가 진행되지 못하고 지연돼 국민의 신뢰도가 떨어지고 있다”며 “공기 연장은 부실 공사로 이어질 가능성도 큰 만큼 국토교통부와 한국철도시설공단은 계획된 공사 기간에 사업을 끝내도록 노력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안정락 기자 jran@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