극심한 전세난 속에 수도권 경매 아파트 낙찰가율(감정가 대비 낙찰가 비율)이 2년6개월 만에 최고치로 치솟았다.

24일 부동산태인에 따르면 서울·경기·인천 등 수도권 경매법정의 아파트 월간 평균 낙찰가율이 이달 21일 기준으로 82.55%를 나타내 전달보다 4.05%포인트 상승했다. 2011년 4월(83.07%) 이후 2년6개월 만에 최고치다.

수도권 아파트 낙찰가율은 올 들어 70%대에서 지속적으로 상승했다. 서울 낙찰가율은 지난달 76.88%에서 이달 83.25%로 한 달 새 6.37%포인트 올랐다. 역시 직전 최고점인 2011년 5월(84.38%)에 근접한 수치다. 경기도 아파트의 이달 낙찰가율도 82.40%를 기록했다.

낙찰가율 상승은 입찰자가 몰리면서 경매 물건의 인기가 높아졌다는 의미다. 수도권 아파트의 경매 입찰 경쟁률은 지난달(7.45 대 1)에 이어 이달(7.19 대 1)에도 평균 7 대 1을 넘어 연중 최고 수준이다.

경매에 수요자들이 몰리는 것은 전셋값이 치솟으며 전세가격과 경매 낙찰가의 격차가 줄어들었기 때문이다. 서울북부지방법원에서 다음달 18일 입찰이 진행되는 서울 도봉구 쌍문동 K아파트(34평형)는 최저 경매가가 1억4336만원으로 세 차례 유찰되면서 감정가(2억8000만원)의 절반 수준까지 내려갔다. 이 아파트의 전세가격은 1억4500만~1억6500만원 수준이다.

박원갑 국민은행 부동산 전문위원은 “전세금 상승세가 꺾이지 않자 외곽의 더 저렴한 전세 아파트를 찾아 나서거나 전세보다 싼 경매 아파트를 낙찰받으려는 세입자가 늘고 있다”고 말했다.

문혜정 기자 selenmoon@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