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의 성(性) 평등 수준이 세계 최하위권인 것으로 나타났다.

세계경제포럼(WEF)이 25일 발표한 ‘2013 세계 성 격차 보고서’에 따르면 올해 136개 조사 대상국 중 한국의 성 평등 순위는 111위로 지난해(108위)보다 세 계단 하락했다. 아랍에미리트(109위), 바레인(112위), 카타르(115위) 등 여성 억압이 심한 아랍 국가들과 비슷한 수준이다. 한국의 성 격차 지수 순위는 2010년 104위, 2011년 107위, 2012년 108위로 하락 추세다.

지표별 순위를 보면 한국의 여성 경제참여도와 기회 지수는 118위로 지난해보다 두 계단 떨어졌고, 교육 정도(100위), 보건(75위), 정치권력 분산(86위)도 하위권에 머물렀다. 한국의 전체적인 성 격차지수는 0.635(0:불평등, 1:완전평등)로 교육(0.959), 보건(0.973) 분야에서는 높은 평가를 받았지만 국회의원과 장·차관 및 기업 고위간부 중 여성 비율이 낮아 경제적 참여와 기회(0.504), 정치권력 분산(0.105) 등에서 점수가 낮게 평가됐다.

여성가족부는 “WEF의 성 격차 지수에 국내 상황을 정확히 반영하지 못하는 일부 지표를 사용해 이 같은 결과가 나왔다”고 해명했다.

김보라 기자 destinybr@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