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근혜 대통령이 25일 청와대에서 열린 제2차 문화융성위원회 회의에서 참석자들과 악수하고 있다. 오른쪽은 김동호 문화융성위원장.  강은구 기자 egkang@hankyung.com
박근혜 대통령이 25일 청와대에서 열린 제2차 문화융성위원회 회의에서 참석자들과 악수하고 있다. 오른쪽은 김동호 문화융성위원장. 강은구 기자 egkang@hankyung.com
이르면 내년부터 매달 마지막 수요일이 ‘문화가 있는 날’로 지정돼 고궁과 박물관 미술관이 일반인에게 무료로 개방된다. 세계 정상들을 초청해 문화담론을 나누는 ‘세계문화정상회의’도 개최될 전망이다. 지역·마을 고유의 문화 부흥을 위해 하향 일변도의 문화정책 패러다임은 상향식으로 바뀌게 된다.

박근혜 대통령은 25일 청와대에서 김동호 문화융성위원장으로부터 이 같은 내용을 담은 ‘문화융성의 시대를 열다-문화가 있는 삶’ 8대 정책 과제를 보고받았다. 박 대통령은 “인간의 창조성은 삶의 근본에 대한 고민과 앞서간 문화에 대한 존경에서 나온다”며 “문화의 기초체력이라 할 인문학과 전통문화, 지역문화에 대한 관심이 매우 중요하고, 일상에 인문정신이 스며들 수 있도록 더 노력해야 한다”고 말했다.

김 위원장이 보고한 8대 과제는 △인문정신의 가치정립과 확산 △전통문화의 생활화와 현대적 접목 △생활 속 문화 확산 △지역문화의 자생력 강화 △예술진흥 선순환 생태계 형성 △문화와 정보기술(IT) 융합 △한류 등 국내외 문화가치 확산 △유네스코 세계인류무형유산으로 지정된 ‘아리랑’의 국민통합 구심점화 등이다.

김 위원장은 이날 청와대 보고 후 문화체육관광부에서 브리핑을 열고 “위원회 활동 결과 문화정책이 지나치게 하향식이라는 게 지역의 공통된 의견이었다”며 “대구에서 추진 중인 근대골목프로젝트, 부산의 원도시 창작예술 프로젝트 등 마을 단위의 문화운동을 지원해 지역 고유의 문화를 찾는 움직임이 전국으로 확산되도록 하겠다”고 설명했다.

한류 등 국내외 문화가치 확산을 위해 세계문화정상회의도 추진키로 했다. 세계 각국의 지도자와 석학, 문화 분야 관련 단체 등이 참석해 국제적으로 문화의 가치와 역할을 조명하는 행사를 만들어보겠다는 것이다.

이승우/도병욱 기자 eeswoo@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