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저축률이 이렇게 낮아진 진짜 이유 있다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가계 저축률의 하락추세가 이어지고 있다. 한국은행에 따르면 가계의 가처분소득에서 각종 소비 지출을 제외해 산출되는 순저축률은 지난해 3.4%에 그쳤다. 전년(3.1%)보다는 소폭 높아졌지만, 금융위기가 정점이던 2009년(4.1%)보다도 한참 낮다. 국제적으로도 최하위권이다. 경제협력개발기구(OECD)가 산출한 지난해 한국 저축률은 3.8%로 한은 통계치보다 높지만, 23개국의 평균 저축률(5.1%)에 못 미치는 것은 마찬가지다. 근면국가인 독일(10.3%)은 물론 대표적 소비국가인 미국(3.9%)에도 뒤진다. 한국은 ‘저축하지 않는 국가’라는 평가가 나온다.
경제가 성장하면서 저축률이 낮아지는 것은 어찌보면 자연스러운 현상이다. 소득이 늘면 소비성향도 높아지기 마련이다. 소득이 1만달러도 안되는 때와 3만달러에 육박하는 때의 저축률은 차이가 날 수밖에 없다. 여기에 국민연금, 건강보험 등 사회적 지출 증가도 빼놓을 수 없다. 가계 저축률이 1988년 24.7%로 정점을 기록한 후 계속 떨어지는 데에는 국민연금 도입이 결정적인 요인이었다.
더욱이 저성장에 저금리다. 실질금리가 연 3%도 안되는 상황에서는 예금·적금으로 재산을 불리기 어렵다. 경제가 확 살아나 두 자릿수 성장으로 가거나 금리가 치솟을 가능성도 별로 없다. 열심히 일해서 번 돈을 한 푼 두 푼 절약해 저축하기보다 주식 부동산 등으로 한몫 잡으려는 유혹에 흔들리기 쉬운 구조가 돼버렸다.
더 심각한 것은 개인 문제를 국가와 사회 탓으로 돌리고 있다는 점이다. 그 결과 나라가 개인 빚을 탕감해주고, 국민연금에다 기초연금까지 최대한 얹어 노후를 책임지라는 요구만 늘어난다. 젊은 층들은 일단 쓰고 보자며 미래를 위해 저축할 생각을 하지 않는다. 열심히 일해서 한 푼 두 푼 모으는 것은 바보요, 인생 허비로밖에 보지 않는 현세주의가 팽배하다. 개인의 삶을 국가나 사회가 책임질 수는 없다. 자신이 할 일을 국가와 사회에 돌리는 것은 정신과 삶을 파괴할 뿐이다. 근검절약과 저축을 비웃는 사회는 미래가 없다.
경제가 성장하면서 저축률이 낮아지는 것은 어찌보면 자연스러운 현상이다. 소득이 늘면 소비성향도 높아지기 마련이다. 소득이 1만달러도 안되는 때와 3만달러에 육박하는 때의 저축률은 차이가 날 수밖에 없다. 여기에 국민연금, 건강보험 등 사회적 지출 증가도 빼놓을 수 없다. 가계 저축률이 1988년 24.7%로 정점을 기록한 후 계속 떨어지는 데에는 국민연금 도입이 결정적인 요인이었다.
더욱이 저성장에 저금리다. 실질금리가 연 3%도 안되는 상황에서는 예금·적금으로 재산을 불리기 어렵다. 경제가 확 살아나 두 자릿수 성장으로 가거나 금리가 치솟을 가능성도 별로 없다. 열심히 일해서 번 돈을 한 푼 두 푼 절약해 저축하기보다 주식 부동산 등으로 한몫 잡으려는 유혹에 흔들리기 쉬운 구조가 돼버렸다.
더 심각한 것은 개인 문제를 국가와 사회 탓으로 돌리고 있다는 점이다. 그 결과 나라가 개인 빚을 탕감해주고, 국민연금에다 기초연금까지 최대한 얹어 노후를 책임지라는 요구만 늘어난다. 젊은 층들은 일단 쓰고 보자며 미래를 위해 저축할 생각을 하지 않는다. 열심히 일해서 한 푼 두 푼 모으는 것은 바보요, 인생 허비로밖에 보지 않는 현세주의가 팽배하다. 개인의 삶을 국가나 사회가 책임질 수는 없다. 자신이 할 일을 국가와 사회에 돌리는 것은 정신과 삶을 파괴할 뿐이다. 근검절약과 저축을 비웃는 사회는 미래가 없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