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선 강성파 '내각 총사퇴' 카드까지…내부 강온차

민주당은 28일 국가기관의 대선개입 의혹과 PK(부산·경남) 출신 인사들의 현정부 사정라인 포진을 '쌍끌이 소재'로 삼아 대여 공세의 수위를 한층 높였다.

당 차원에서 '김기춘 사단'으로 규정한 인사들이 감사원장, 검찰총장 등 사정업무 책임자로 잇따라 포진되고 있는데 대해 국정원 대선개입 의혹 수사 무력화를 위한 수순이라는 관점에서 접근하며 전선 확대를 시도했다.

야권의 부정선거 주장을 '대선불복'으로 몰아가는 여권의 프레임을 정면돌파하려는 시도로도 해석됐다.

김한길 대표는 이날 최고위원회의에서 현 상황을 '헌법수호세력 대 헌법불복 세력의 대결구도'라고 거듭 강조하며 김진태 전 대검차장의 검찰총장 후보 지명과 윤석열 국정원 댓글사건 특별수사팀장 경질 등을 '국정원 대선개입 사건 무죄 만들기를 위한 2013년식 긴급조치'에 비유했다.

양승조 최고위원은 전날 박근혜 대통령이 프로야구 코리안시리즈에서 시구를 한 점을 상기시키며 "국민의 분노가 담긴 돌직구가 눈, 귀를 막고 버티려는 박 대통령을 향하고 있다"면서 "이대로라면 박 대통령의 삼진아웃은 아무도 막을 수 없을 것"이라고까지 했다.

최근 인사에 대한 공격도 잇따랐다.

전병헌 원내대표는 "대통령의 독주를 심화시키는 비정상의 극치", "'신(新) PK(부산·경남) 시대' 도래"라고 포문을 열었고, 신경민 최고위원은 "국기문란 사건의 무죄를 향한 '진격 프로젝트' 본격화"라고 가세했다.

민주당은 이날 법사위원 및 정무위원 등을 주축으로 이날 오후 대검찰청을 항의방문, 윤 전 팀장의 복귀 및 '수사 외압' 인사들의 해임을 촉구할 예정이다.

시민단체 및 486 출신 등을 중심으로 한 초선 의원 20명은 이날 기자회견을 열어 지난 대선을 '총체적 신(新)관권·부정선거'로 정의하며 내각 총사퇴와 청와대 비서실 전면개편, 전면적 특검 실시 등을 요구했다.

이 같은 주장은 ▲국정원장-법무장관-대검 차장-중앙지검장 문책 ▲대통령의 사과 및 진실규명 입장 표명 ▲윤 전 팀장 복귀 및 수사권 보장 등 지도부의 요구에 비해 한걸음 더 나아간 것이다.

이를 두고 지도부 일각에선 "너무 앞서 나갔다"며 불편해 하는 기류도 읽혀졌다.

지도부는 국정감사가 종료되는 시점에 맞춰 특검 카드를 꺼내드는 방안을 내부적으로 검토해 왔다.

지난 23일 성명을 발표한 문재인 의원 역할론을 둘러싼 당내 논란도 이어졌다.

정동영 상임고문은 한 라디오인터뷰에서 "대선불복이라는 정쟁 프레임에 말려들게 되는 건 현명하지 않다"고 거듭 주장했고, 문병호 의원도 "당 대표나 지도부가 나서야 한다는데에 공감대가 형성되고 있다"고 말했다.

이날 초선 의원 성명에 친노 핵심 인사들은 참여하지 않은 것을 두고도 이런 당내 기류를 감안해 불필요한 오해를 막기 위해 '숨고르기'에 들어간 게 아니냐는 해석이 일각에서 나왔다.

(서울연합뉴스) 송수경 기자 hanksong@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