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지역 아파트 평균 전세가율(매매가격 대비 전셋값)이 11년 만에 60%를 넘어섰다. 전·월세 거주자들의 주택 구매 지원 대책인 ‘8·28 대책’에도 전셋값 오름세가 꺾이지 않고 있다.

30일 국민은행에 따르면 이달 서울 아파트 전세가율은 60.1%로 9월(59.1%)보다 1%포인트 상승했다. 월별 기준으로 서울 아파트 전세가율이 60%를 넘어선 것은 2002년 8월(60.7%) 이후 처음이다. 지방을 포함한 전국 아파트 전세가율은 65.9%로 9월(65.2%)에 비해 소폭(0.7%포인트) 올랐다.

매매시장 대신 전세시장으로만 수요가 쏠리면서 전세가율이 60%에 육박하면 집값이 오르고 거래가 활기를 띤다는 이른바 ‘전세가율 60% 법칙’도 통하지 않을 것이라는 게 전문가들의 설명이다. 박원갑 국민은행 부동산 전문위원은 “이사철이 마무리되는 다음달부터 전세 수요가 소폭 줄어들겠지만 여전히 전세를 찾는 세입자가 적지 않아 전셋값 강세는 지속될 것”이라고 말했다.

최근엔 취득세율 영구인하와 다주택자 양도소득세 중과 폐지 등 부동산 활성화 법안의 국회 통과가 늦어지면서 수도권 주택시장 분위기도 서서히 가라앉을 조짐을 보이고 있다. 부동산 정보업체인 부동산114 집계 결과 지난주 서울 아파트 가격은 직전 주에 비해 0.01% 떨어지며 8주 만에 다시 약보합세로 돌아섰다. 신도시(0.01%)와 경기지역(0.0%)도 보합세였다.

집값 상승세를 이끌던 서울 강남권 재건축 아파트는 물론 중소형 아파트의 상승세도 둔화되고 있다. 투자자와 실수요자들의 매수 문의가 눈에 띄게 줄었다는 게 중개업계의 설명이다.

송파구 잠실주공5단지 인근 박사공인 관계자는 “조합설립 등 호재가 많지만 거래가 뜸한 상황”이라고 밝혔다. 양지영 리얼투데이 리서치팀장은 “취득세 영구 인하 소급 여부를 놓고 정부와 국회가 오락가락하면서 불확실성이 커지고 있다”며 “부동산 시장의 불확실성을 줄이려면 부동산 활성화 관련 법안들이 빨리 처리돼야 한다”고 지적했다.

김보형 기자 kph21c@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