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럽 점유율 8%'…현대·기아차 "속도를 높여라"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점유율 3년내 8% 달성
제네시스 등 신형모델 투입, i10 등 소형차 투입도 늘려…공격적 마케팅 포문
브랜드 '혁신 또 혁신'
품질 고급화로 이미지 제고…정몽구 회장 특명 "유럽고객 감성 충족시켜라"
제네시스 등 신형모델 투입, i10 등 소형차 투입도 늘려…공격적 마케팅 포문
브랜드 '혁신 또 혁신'
품질 고급화로 이미지 제고…정몽구 회장 특명 "유럽고객 감성 충족시켜라"
현대·기아자동차가 판매량 확대와 브랜드 인지도 강화라는 ‘투 트랙’ 전략으로 현재 6%대인 유럽시장 점유율을 2017년까지 8%대로 끌어올린다는 목표를 세웠다. 장기 침체에서 벗어나 7년 만에 회복세를 보일 것으로 전망되는 유럽 시장을 선제 공략하겠다는 전략이다. 지난달 하순 유럽공장과 판매법인을 방문한 정몽구 현대차그룹 회장은 “유럽시장이 회복 기미를 보이는 지금 생산에 만전을 기해 유럽 고객 감성을 충족시키는 고품질의 자동차 브랜드로 신뢰도를 강화하라”고 지시했다.
○유럽 시장 점유율 8% 달성
6일 현대·기아차에 따르면 현대차 유럽판매법인(HME)은 2017년까지 유럽시장 점유율을 5%로 높인다는 내부 목표를 정했다. 작년 기준 시장점유율(3.5%)보다 1.5%포인트 높은 것이다. 황기연 현대차 유럽판매법인 부장은 “2008년 1.4%였던 시장 점유율을 지난해 3.5%로 끌어올린 성장세를 유지해 이르면 3~4년 내 5% 점유율을 달성하겠다는 전략”이라고 설명했다.
기아차 유럽판매법인(KME)도 공격적인 시장 대응전략을 세웠다. 현재 2.7~2.8%인 유럽 시장 점유율을 3년 내 3%대로 높이기로 했다. 판매량 목표치도 올해 33만5000대에서 향후 42만대까지 확대하기로 했다. 이런 전략이 맞아떨어질 경우 현대·기아차의 점유율은 6% 초반대에서 3~4년 내 8%대로 높아지게 된다. 유럽 시장에서 판매 순위도 현재 7위에서 포드와 BMW를 제치고 폭스바겐, 르노닛산, 푸조시트로앵, GM에 이어 ‘톱5’ 안에 진입할 것으로 예상된다.
현대·기아차가 이처럼 공격적 시장전략을 세운 건 극심한 침체를 겪어왔던 유럽 자동차 시장이 올 하반기부터 회복 조짐을 보이고 있어서다. 유럽 자동차 시장은 2008년 금융위기 이후 6년 연속 판매량이 줄었다. 지난해 자동차 판매량은 1406만대로 전년보다 7.8% 줄었다. 올해 판매량도 작년보다 3.8% 줄어든 1353만대에 머물 것으로 전망된다.
하지만 내년에는 판매량이 1387만대로 올해보다 2.5% 늘 것이란 전망이 대체적이다. 7년 만에 플러스(+) 성장을 하는 셈이다. 이에 맞춰 폭스바겐, 포드, 시트로앵 등 유럽 주요 업체들은 내년 이후 대대적으로 신차를 내놓을 계획을 세우고 있다. 마이클 콜 기아차 유럽판매법인 COO(최고운영책임자)는 “지난해 유럽 자동차 수요는 2008년에 비해 25%가량 줄었지만 현대차와 기아차는 각각 60%, 40% 판매량을 늘렸다”며 “시장이 회복하는 시점에 맞춰 더욱 공격적으로 나서야 한다는 게 현대·기아차의 전략”이라고 설명했다.
○판매 신장+브랜드 강화 ‘투 트랙’ 공략
현대·기아차는 이런 목표 달성을 위해 경쟁력 있는 신차를 대거 투입하기로 했다. 유럽지역의 주력 차급인 소형·준중형 신규 모델을 선보여 판매량을 늘리고, 고급 세단과 SUV(스포츠 유틸리티 차량) 등을 앞세워 브랜드 인지도를 높이기로 했다. 정 회장도 지난달 유럽현장 경영에서 “브랜드 인지도가 뒷받침되지 않아 성장세가 주춤하고 있다”며 “품질 고급화와 함께 브랜드 혁신을 추진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현대차는 유럽 소형차 시장을 겨냥한 신형 i10을 올 하반기부터 유럽 주요지역에서 판매하기 시작했다. 이 차는 폭스바겐 업(UP), 피아트 판다 등과 같은 차급으로 실내공간을 기존 모델보다 넓혀 공간 효율성을 개선했다. 브랜드 인지도 향상을 위해 내년에는 고급 세단 신형 제네시스를 투입할 예정이다.
기아차는 준중형급 씨드 2세대 모델로 판매량을 늘린다는 계획이다. 해치백, 3도어, 왜건형에 이어 올해는 고성능 모델인 GT까지 총 5종을 유럽 시장에 선보일 예정이다. 아울러 신형 쏘울을 내년 3월 유럽 주요 시장에 내놓고 K5 부분변경 모델을 출시, 프리미엄 이미지를 구축한다는 계획이다.
프랑크푸르트(독일)=이태명 기자 chihiro@hankyung.com
○유럽 시장 점유율 8% 달성
6일 현대·기아차에 따르면 현대차 유럽판매법인(HME)은 2017년까지 유럽시장 점유율을 5%로 높인다는 내부 목표를 정했다. 작년 기준 시장점유율(3.5%)보다 1.5%포인트 높은 것이다. 황기연 현대차 유럽판매법인 부장은 “2008년 1.4%였던 시장 점유율을 지난해 3.5%로 끌어올린 성장세를 유지해 이르면 3~4년 내 5% 점유율을 달성하겠다는 전략”이라고 설명했다.
기아차 유럽판매법인(KME)도 공격적인 시장 대응전략을 세웠다. 현재 2.7~2.8%인 유럽 시장 점유율을 3년 내 3%대로 높이기로 했다. 판매량 목표치도 올해 33만5000대에서 향후 42만대까지 확대하기로 했다. 이런 전략이 맞아떨어질 경우 현대·기아차의 점유율은 6% 초반대에서 3~4년 내 8%대로 높아지게 된다. 유럽 시장에서 판매 순위도 현재 7위에서 포드와 BMW를 제치고 폭스바겐, 르노닛산, 푸조시트로앵, GM에 이어 ‘톱5’ 안에 진입할 것으로 예상된다.
현대·기아차가 이처럼 공격적 시장전략을 세운 건 극심한 침체를 겪어왔던 유럽 자동차 시장이 올 하반기부터 회복 조짐을 보이고 있어서다. 유럽 자동차 시장은 2008년 금융위기 이후 6년 연속 판매량이 줄었다. 지난해 자동차 판매량은 1406만대로 전년보다 7.8% 줄었다. 올해 판매량도 작년보다 3.8% 줄어든 1353만대에 머물 것으로 전망된다.
하지만 내년에는 판매량이 1387만대로 올해보다 2.5% 늘 것이란 전망이 대체적이다. 7년 만에 플러스(+) 성장을 하는 셈이다. 이에 맞춰 폭스바겐, 포드, 시트로앵 등 유럽 주요 업체들은 내년 이후 대대적으로 신차를 내놓을 계획을 세우고 있다. 마이클 콜 기아차 유럽판매법인 COO(최고운영책임자)는 “지난해 유럽 자동차 수요는 2008년에 비해 25%가량 줄었지만 현대차와 기아차는 각각 60%, 40% 판매량을 늘렸다”며 “시장이 회복하는 시점에 맞춰 더욱 공격적으로 나서야 한다는 게 현대·기아차의 전략”이라고 설명했다.
○판매 신장+브랜드 강화 ‘투 트랙’ 공략
현대·기아차는 이런 목표 달성을 위해 경쟁력 있는 신차를 대거 투입하기로 했다. 유럽지역의 주력 차급인 소형·준중형 신규 모델을 선보여 판매량을 늘리고, 고급 세단과 SUV(스포츠 유틸리티 차량) 등을 앞세워 브랜드 인지도를 높이기로 했다. 정 회장도 지난달 유럽현장 경영에서 “브랜드 인지도가 뒷받침되지 않아 성장세가 주춤하고 있다”며 “품질 고급화와 함께 브랜드 혁신을 추진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현대차는 유럽 소형차 시장을 겨냥한 신형 i10을 올 하반기부터 유럽 주요지역에서 판매하기 시작했다. 이 차는 폭스바겐 업(UP), 피아트 판다 등과 같은 차급으로 실내공간을 기존 모델보다 넓혀 공간 효율성을 개선했다. 브랜드 인지도 향상을 위해 내년에는 고급 세단 신형 제네시스를 투입할 예정이다.
기아차는 준중형급 씨드 2세대 모델로 판매량을 늘린다는 계획이다. 해치백, 3도어, 왜건형에 이어 올해는 고성능 모델인 GT까지 총 5종을 유럽 시장에 선보일 예정이다. 아울러 신형 쏘울을 내년 3월 유럽 주요 시장에 내놓고 K5 부분변경 모델을 출시, 프리미엄 이미지를 구축한다는 계획이다.
프랑크푸르트(독일)=이태명 기자 chihiro@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