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처음 시행된 수준별 선택형(A·B형) 수능에선 같은 내용을 묻는 문제도 유형별로 난이도가 다르게 출제돼 눈길을 끌었다.

7일 치러진 선택형 수능 1교시 국어와 2교시 수학 문항을 살펴보면, 국어의 경우 동일한 지문을 유형에 따라 현대어와 고어(古語)로 각각 제시해 변별력을 줬다. 수학도 같은 내용의 문항에서 유형별로 한 단계 풀이과정을 더 요구하는 방식을 택해 난이도에 차이를 보였다.
국어 A형(왼쪽)과 B형 동일문항. 각각 현대어와 고어를 사용해 차이점을 보였다.
국어 A형(왼쪽)과 B형 동일문항. 각각 현대어와 고어를 사용해 차이점을 보였다.
국어에서 지문으로 제시된 고전시가는 A형은 현대어로 번역했고, B형은 고어를 그대로 써 수준차를 뒀다. B형은 지문뿐 아니라 문제의 보기로 제시된 작품도 중세어 표기를 원문에 가깝게 제시, B형 응시 수험생은 고전의 원문 독해능력을 갖춰야 문제를 손쉽게 풀 수 있었다.

예컨대 A형에서 '앉았으니' 등의 시어는 B형에선 '안자시니' 등의 고어로 표기됐다. 유웨이중앙교육 국어영역 황석환 수석연구원은 "수준별 선택형 취지가 반영된 문항"이라며 "고전 원문 독해능력이 떨어지는 B형 응시자들은 선택형 수능에서 오는 어려움을 느낄 수 있다"고 분석했다.
수학 A형(왼쪽)과 B형의 같은 문항. B형은 A형에 비해 문제풀이를 한 단계 더 거쳐야 한다.
수학 A형(왼쪽)과 B형의 같은 문항. B형은 A형에 비해 문제풀이를 한 단계 더 거쳐야 한다.
수학 역시 A형 7번 문항과 B형 5번 문항은 확률을 계산하는 같은 내용을 물었지만 B형은 A형에 비해 한 단계 더 풀이과정을 거치도록 했다. A형은 P(A)와 P(B)가 주어진 상태에서 계산을 하면 됐지만, B형은 주어진 두 식을 이용해 P(A)와 P(B)를 구해 문제를 풀어야 했다.

유웨이중앙교육 수학영역 김노연 수석연구원은 "수학에선 함수의 연속 문제인 A형 28번과 B형 12번 문항도 같은 내용을 묻고 있다"며 "A형은 각 함수식이 일차함수이고 B형은 자연로그함수이며 A형은 한 점에서, B형은 구간에서 연속임을 묻고 있으므로 난이도는 B형이 훨씬 높다"고 설명했다.
영어 A형(왼쪽)과 B형. 각각 보기를 한글과 영어로 제시해 차이점을 보였다.
영어 A형(왼쪽)과 B형. 각각 보기를 한글과 영어로 제시해 차이점을 보였다.
영어도 마찬가지였다. A형 25번과 B형 24번은 모두 주제를 묻는 같은 유형의 문제. 하지만 A형은 선택지가 한글로 제시된 반면 B형은 영어로 제시됐다. B형처럼 지문과 보기가 모두 영어일 경우 문제를 푸는 학생들의 체감 난이도는 올라가 영어는 A형과 B형의 난이도 차가 뚜렷했다.

한경닷컴 김봉구 기자 kbk9@hankyung.com
기사제보 및 보도자료 open@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