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통상자원부가 2035년까지 전체 발전에서 원자력 발전이 차지하는 비중(설비용량 기준)을 29%(현재 25%)에 가깝게 맞추겠다는 뜻을 밝혔다. 민관 실무그룹이 제2차 국가에너지기본계획 권고안에서 제시한 원전 비중 목표치 22~29% 범위에서 최대치를 선택하겠다는 것이다.

김준동 산업부 에너지자원실장은 7일 국회에서 열린 ‘제2차 국가에너지기본계획 공청회’에 참석해 심학봉 새누리당 의원이 “실무그룹의 권고를 어떻게 생각하느냐”고 질문하자 “권고안을 받아들이는 범위에서 가급적 높은 수준으로 원전 비중을 결정할 것”이라고 답했다.

김 실장은 “실무그룹은 원자력 안전문제와 송전탑 갈등 등을 고려해 원전 비중을 20%대로 낮추라고 했다”며 “그러나 온실가스 감축, 에너지 안보 등을 위해서는 원전을 어느 정도 유지할 필요가 있어 실무그룹에서 제시한 범위에서 최대한 원전 비중을 높이려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지난달 발표한 민관 실무그룹의 권고안은 원전 비중을 1차 계획(2030년까지)에서 목표로 한 41%에서 2035년 22~29%로 대폭 낮추도록 했다. 이날 공청회에서는 원전 비중을 놓고 치열한 공방이 벌어졌다. 공청회에는 노동석 에너지경제연구원 선임연구위원을 비롯해 윤순진 서울대 환경대학원 교수, 박주헌 동덕여대 교수, 이헌석 에너지정의행동 대표가 토론자로 참석했다.

노 선임연구위원은 “한국의 에너지 소비량은 세계 10위지만 부존자원은 매우 부족하다”며 “일본 독일 프랑스 등 에너지 빈국으로 분류되는 나라들도 대부분 원전 비중이 높다”고 설명했다. 반면 상대적인 비중만 줄어들었을 뿐 신규 원전 건설은 계속될 것이라는 지적도 나왔다.

윤 교수는 “에너지 수요와 전력 수요가 증가하는 상황을 고려하면 실제 원전시설 용량은 늘어날 수밖에 없다”며 “실제로 향후 몇 기가 추가로 건설되는지 논의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이 대표도 “2035년까지 수명이 끝나는 원전은 14기”라며 “노후 원전 폐쇄를 진행하면 그 비중만큼 신규 원전을 건설하는 것을 의미한다”고 가세했다.

조미현 기자 mwise@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