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소기업 112곳 구조조정 대상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3년만에 최대…D등급 58곳 법정관리로 갈듯
중소기업 112개가 구조조정 대상으로 선정됐다. 금융감독원은 지난 3개월간 채권은행들이 벌인 ‘2013년도 중소기업 신용위험 정기평가’ 결과 이같이 결정했다고 8일 발표했다.
구조조정 대상 기업은 작년(97개)보다 15.5%(15개) 늘었다. 글로벌 금융위기가 한창이던 2010년(121개) 이후 3년 만에 가장 많은 규모다.
올해 구조조정 대상에 오른 112개 중소기업 중 ‘C등급’을 받은 54개에 대해서는 채권단 협의로 기업 재무구조개선(워크아웃)이 추진된다. ‘D등급’을 받은 58개 중소기업은 자체 정상화를 꾀해야 한다. 그렇지 못하면 기업회생절차(법정관리) 신청을 피하기 어렵다.
조영제 금감원 부원장은 “채권단끼리 합의가 이뤄지지 않으면 감독당국이 적극적으로 나설 방침”이라며 “엄정한 기준을 통해 살릴 수 있는 기업은 신속하게 지원해 일시적인 유동성 위험에서 벗어나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업종별로는 제조업이 53개, 비제조업이 59개였다. 경기 회복 지연에 따른 경영 실적 악화로 제조업이 전년보다 20.5%(9개) 늘었고, 비제조업 중에서는 골프장운영업 등 오락 및 레저서비스업이 23개로 지난해(6개)보다 4배 정도 급증했다.
이번 정기평가는 금융권에서 50억~500억원을 빌린 중소기업 가운데 재무구조가 취약한 1502개를 대상으로 했다. 구조조정 대상으로 선정된 112개 기업에 대한 금융권 신용공여액은 1조5499억원이다. 금감원은 은행들이 5735억원의 충당금을 쌓게 될 것으로 예상했다.
류시훈 기자 bada@hankyung.com
구조조정 대상 기업은 작년(97개)보다 15.5%(15개) 늘었다. 글로벌 금융위기가 한창이던 2010년(121개) 이후 3년 만에 가장 많은 규모다.
올해 구조조정 대상에 오른 112개 중소기업 중 ‘C등급’을 받은 54개에 대해서는 채권단 협의로 기업 재무구조개선(워크아웃)이 추진된다. ‘D등급’을 받은 58개 중소기업은 자체 정상화를 꾀해야 한다. 그렇지 못하면 기업회생절차(법정관리) 신청을 피하기 어렵다.
조영제 금감원 부원장은 “채권단끼리 합의가 이뤄지지 않으면 감독당국이 적극적으로 나설 방침”이라며 “엄정한 기준을 통해 살릴 수 있는 기업은 신속하게 지원해 일시적인 유동성 위험에서 벗어나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업종별로는 제조업이 53개, 비제조업이 59개였다. 경기 회복 지연에 따른 경영 실적 악화로 제조업이 전년보다 20.5%(9개) 늘었고, 비제조업 중에서는 골프장운영업 등 오락 및 레저서비스업이 23개로 지난해(6개)보다 4배 정도 급증했다.
이번 정기평가는 금융권에서 50억~500억원을 빌린 중소기업 가운데 재무구조가 취약한 1502개를 대상으로 했다. 구조조정 대상으로 선정된 112개 기업에 대한 금융권 신용공여액은 1조5499억원이다. 금감원은 은행들이 5735억원의 충당금을 쌓게 될 것으로 예상했다.
류시훈 기자 bada@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