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탠리 피셔의 두 제자…서머스-버냉키, 경기부양책 놓고 '설전'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경제위기 '상반된 해법'
IMF'위기대응책 포럼'
서머스 "초저금리 효과 없어…일본식 불황 우려"
버냉키 "Fed, 고용 위해 강력한 조치 취하는 것"
IMF'위기대응책 포럼'
서머스 "초저금리 효과 없어…일본식 불황 우려"
버냉키 "Fed, 고용 위해 강력한 조치 취하는 것"
“양적완화와 제로금리 정책에도 불구하고 미국 국민들의 삶은 4년 전에 비해 나아진 게 없다.”(로렌스 서머스 전 미국 재무장관) “그러므로 경기부양책이 더 필요하다.”(벤 버냉키 미국 중앙은행(Fed) 의장)
한때 유력한 차기 Fed 의장 후보였던 서머스 전 장관과 내년 1월 말 퇴임하는 버냉키 의장이 ‘설전’을 벌였다. 국제통화기금(IMF)이 지난 8일 미국 워싱턴에서 개최한 ‘제14회 자크 폴락 연례 학술대회’에서다. 이들은 ‘위기 대응책’이란 경제포럼에서 매사추세츠공과대(MIT) 박사과정 때 스승이었던 스탠리 피셔 전 이스라엘 중앙은행 총재와 함께 금융위기 해법을 놓고 논쟁을 벌였다.
서머스 전 장관은 “Fed는 2007~2008년 금융위기에 아주 훌륭하게 대처했다”며 버냉키 의장을 치켜세우는 듯했다. 그러나 “위기 대응과 관련한 Fed의 역할은 2008년 말로 끝이 났다”며 특유의 직설화법으로 Fed의 경기부양책을 비판했다. 그는 “금융위기가 해소된 2009년 이후 4년 동안 미국인의 삶이 개선되지 않았다”며 “고용인구는 줄어들었고 경제성장은 2009년 당시 추정했던 잠재성장률보다 더 낮았다”고 지적했다. Fed의 양적완화와 초저금리 정책 등 경기부양책이 더 이상 효과를 보지 못하고 있다는 얘기다.
서머스 전 장관은 일본 경제가 20년간 장기 침체를 겪은 것을 언급하면서 Fed의 제로금리 정책과 그에 따른 실질금리 마이너스 현상의 부작용을 우려했다. 일본은 장기간 초저금리 정책에도 불구하고 실질 국내총생산(GDP)은 1990년대 IMF의 추정치에 비해 절반으로 줄었다고 강조했다. 이어 “수년간 지속된 Fed의 제로금리 정책의 끝이 보이지 않는다”며 “정책당국자들은 몇 년 뒤 제로금리가 만성화돼 경제활동을 시스템적으로 방해하는 상황을 우려해야 할지 모른다”고 꼬집었다.
양적완화와 제로금리 정책에도 불구하고 성장둔화와 낮은 인플레이션에 빠진 미국 경제가 일본식 장기 불황으로 이어질 수도 있다는 경고다.
서머스 전 장관의 이런 비판에 대해 버냉키 의장은 “흥미로운 이야기”라면서도 “실질금리가 영구적으로 마이너스 상태로 지속되지 않을 것”이라고 반박했다. Fed가 경기회복에 맞춰 채권매입 프로그램을 조절하면 그에 따라 시장금리도 오르게 될 것이란 설명이다. 버냉키 의장은 또 고용시장이 여전히 악화돼 있다는 서머스 전 장관의 지적에 대해 “Fed가 고용시장 회복을 위해 강력한 조치를 취하고 있는 이유”라고 강조했다.
또 “고용시장이 상당히 침체돼 있다”며 젊은이들이 (취업하지 못하고) 부모와 함께 살고 있는 것이 심각한 문제라고 지적했다. 그가 현재 경제 상황에 대한 진단이나 최근 발표된 10월 고용통계(실업률 7.2%에서 7.3%로 증가) 등을 직접 언급하지 않았지만 당분간 양적완화 기조를 유지할 필요가 있음을 간접 시사한 것 아니냐는 관측이 나왔다.
제자들의 미묘한 신경전에 대해 피셔 전 총재는 “양적완화가 논란이 되고 있지만 위기를 극복하는 데는 효과적이다”며 버냉키 의장 편에 섰다. 그는 “2008년 금융위기는 금리가 제로로 내려간 다음에도 중앙은행이 대규모 경기부양 정책(양적완화)을 펼 수 있다는 점을 보여줬다”며 “버냉키 의장이 중앙은행의 새로운 위기 대응 교본을 만들었다”고 칭찬했다.
워싱턴=장진모 특파원 jang@hankyung.com
한때 유력한 차기 Fed 의장 후보였던 서머스 전 장관과 내년 1월 말 퇴임하는 버냉키 의장이 ‘설전’을 벌였다. 국제통화기금(IMF)이 지난 8일 미국 워싱턴에서 개최한 ‘제14회 자크 폴락 연례 학술대회’에서다. 이들은 ‘위기 대응책’이란 경제포럼에서 매사추세츠공과대(MIT) 박사과정 때 스승이었던 스탠리 피셔 전 이스라엘 중앙은행 총재와 함께 금융위기 해법을 놓고 논쟁을 벌였다.
서머스 전 장관은 “Fed는 2007~2008년 금융위기에 아주 훌륭하게 대처했다”며 버냉키 의장을 치켜세우는 듯했다. 그러나 “위기 대응과 관련한 Fed의 역할은 2008년 말로 끝이 났다”며 특유의 직설화법으로 Fed의 경기부양책을 비판했다. 그는 “금융위기가 해소된 2009년 이후 4년 동안 미국인의 삶이 개선되지 않았다”며 “고용인구는 줄어들었고 경제성장은 2009년 당시 추정했던 잠재성장률보다 더 낮았다”고 지적했다. Fed의 양적완화와 초저금리 정책 등 경기부양책이 더 이상 효과를 보지 못하고 있다는 얘기다.
서머스 전 장관은 일본 경제가 20년간 장기 침체를 겪은 것을 언급하면서 Fed의 제로금리 정책과 그에 따른 실질금리 마이너스 현상의 부작용을 우려했다. 일본은 장기간 초저금리 정책에도 불구하고 실질 국내총생산(GDP)은 1990년대 IMF의 추정치에 비해 절반으로 줄었다고 강조했다. 이어 “수년간 지속된 Fed의 제로금리 정책의 끝이 보이지 않는다”며 “정책당국자들은 몇 년 뒤 제로금리가 만성화돼 경제활동을 시스템적으로 방해하는 상황을 우려해야 할지 모른다”고 꼬집었다.
양적완화와 제로금리 정책에도 불구하고 성장둔화와 낮은 인플레이션에 빠진 미국 경제가 일본식 장기 불황으로 이어질 수도 있다는 경고다.
서머스 전 장관의 이런 비판에 대해 버냉키 의장은 “흥미로운 이야기”라면서도 “실질금리가 영구적으로 마이너스 상태로 지속되지 않을 것”이라고 반박했다. Fed가 경기회복에 맞춰 채권매입 프로그램을 조절하면 그에 따라 시장금리도 오르게 될 것이란 설명이다. 버냉키 의장은 또 고용시장이 여전히 악화돼 있다는 서머스 전 장관의 지적에 대해 “Fed가 고용시장 회복을 위해 강력한 조치를 취하고 있는 이유”라고 강조했다.
또 “고용시장이 상당히 침체돼 있다”며 젊은이들이 (취업하지 못하고) 부모와 함께 살고 있는 것이 심각한 문제라고 지적했다. 그가 현재 경제 상황에 대한 진단이나 최근 발표된 10월 고용통계(실업률 7.2%에서 7.3%로 증가) 등을 직접 언급하지 않았지만 당분간 양적완화 기조를 유지할 필요가 있음을 간접 시사한 것 아니냐는 관측이 나왔다.
제자들의 미묘한 신경전에 대해 피셔 전 총재는 “양적완화가 논란이 되고 있지만 위기를 극복하는 데는 효과적이다”며 버냉키 의장 편에 섰다. 그는 “2008년 금융위기는 금리가 제로로 내려간 다음에도 중앙은행이 대규모 경기부양 정책(양적완화)을 펼 수 있다는 점을 보여줬다”며 “버냉키 의장이 중앙은행의 새로운 위기 대응 교본을 만들었다”고 칭찬했다.
워싱턴=장진모 특파원 jang@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