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방서 '땅따먹기식 영업'…'금융계 삼성전자' 나오겠나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성공하는 경제' 책 낸 권혁세 前금감원장
“스위스의 UBS나 네덜란드의 ING가 국내에서 세계적인 금융회사가 된 것이 아닙니다. 국내 금융회사들도 해외에서 치열하게 경쟁해야 ‘금융계의 삼성전자’가 탄생할 수 있습니다.”
13일 서울 통의동 금융감독원 연수원에서 만난 권혁세 전 금감원장(사진)은 하고 싶은 말이 많았다. 그는 최근 ‘성공하는 경제(도서출판 프리뷰)’라는 책을 냈다. 2011년 3월28일부터 지난 3월15일까지 금감원장을 지낸 경험을 바탕으로 3개월간 매일 7시간씩 꾸준히 작업했다고 했다. 300여쪽, 71개 꼭지에 한국 경제에 대한 분석을 담고 나름대로 대안도 제시했다.
그는 “국내 금융산업은 ‘까다로운 소비자’가 없어 문제”라고 지적했다. “국내 정보기술(IT) 산업은 까다로운 소비자 선호에 맞춰 혁신적인 상품을 내놔서 성공했는데, 우리 은행·증권·보험 등은 현상에 안주하는 ‘땅따먹기식 영업’을 한다”고 꼬집었다.
금융감독은 ‘투 트랙’이어야 한다고 했다. “금융회사 건전성 강화를 위한 규제나 비교 공시 등은 강화하고, 부동산담보대출이나 펀드슈퍼마켓처럼 새로운 금융상품이 나오는 기반을 구축하는 부분에 대해선 규제를 대폭 완화해야 한다”는 얘기다.
‘메가뱅크’에 대해서는 “정부가 주도할 일이 아니다”고 말했다. “시장 경쟁을 통해 자연스럽게 만들어져야 하는 것”이라며 “UBS나 ING를 비롯해 프랑스의 악사(AXA) 등도 치열한 경쟁과 해외 진출, 인수합병(M&A)을 통해 세계적인 금융회사로 성장했다”고 권 전 원장은 밝혔다.
그는 가계부채뿐 아니라 지방정부의 부채, 국가부채 등을 두루 관리하는 컨트롤타워로 대통령 직속 ‘부채관리위원회’를 만들자는 제언도 했다.
‘한국판 증권거래위원회(미국 SEC)’를 만들자는 주장도 펼쳤다. 그는 “위원장을 민간인으로 선임하고, 법원의 판결 없이도 부당이익을 환수할 수 있는 권한을 줘서 증권범죄가 ‘걸려도 남는 장사’라는 생각을 못하게 만들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는 “박근혜 정부가 추구하는 성장·복지·재정건전성 세 마리 토끼를 다 잡으려면 예산과 세제개혁이 급선무”라며 “불요불급한 낭비성 예산을 없애고 국민들에게 ‘증세 없는 복지는 없다’는 점을 설득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이상은 기자 selee@hankyung.com
13일 서울 통의동 금융감독원 연수원에서 만난 권혁세 전 금감원장(사진)은 하고 싶은 말이 많았다. 그는 최근 ‘성공하는 경제(도서출판 프리뷰)’라는 책을 냈다. 2011년 3월28일부터 지난 3월15일까지 금감원장을 지낸 경험을 바탕으로 3개월간 매일 7시간씩 꾸준히 작업했다고 했다. 300여쪽, 71개 꼭지에 한국 경제에 대한 분석을 담고 나름대로 대안도 제시했다.
그는 “국내 금융산업은 ‘까다로운 소비자’가 없어 문제”라고 지적했다. “국내 정보기술(IT) 산업은 까다로운 소비자 선호에 맞춰 혁신적인 상품을 내놔서 성공했는데, 우리 은행·증권·보험 등은 현상에 안주하는 ‘땅따먹기식 영업’을 한다”고 꼬집었다.
금융감독은 ‘투 트랙’이어야 한다고 했다. “금융회사 건전성 강화를 위한 규제나 비교 공시 등은 강화하고, 부동산담보대출이나 펀드슈퍼마켓처럼 새로운 금융상품이 나오는 기반을 구축하는 부분에 대해선 규제를 대폭 완화해야 한다”는 얘기다.
‘메가뱅크’에 대해서는 “정부가 주도할 일이 아니다”고 말했다. “시장 경쟁을 통해 자연스럽게 만들어져야 하는 것”이라며 “UBS나 ING를 비롯해 프랑스의 악사(AXA) 등도 치열한 경쟁과 해외 진출, 인수합병(M&A)을 통해 세계적인 금융회사로 성장했다”고 권 전 원장은 밝혔다.
그는 가계부채뿐 아니라 지방정부의 부채, 국가부채 등을 두루 관리하는 컨트롤타워로 대통령 직속 ‘부채관리위원회’를 만들자는 제언도 했다.
‘한국판 증권거래위원회(미국 SEC)’를 만들자는 주장도 펼쳤다. 그는 “위원장을 민간인으로 선임하고, 법원의 판결 없이도 부당이익을 환수할 수 있는 권한을 줘서 증권범죄가 ‘걸려도 남는 장사’라는 생각을 못하게 만들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는 “박근혜 정부가 추구하는 성장·복지·재정건전성 세 마리 토끼를 다 잡으려면 예산과 세제개혁이 급선무”라며 “불요불급한 낭비성 예산을 없애고 국민들에게 ‘증세 없는 복지는 없다’는 점을 설득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이상은 기자 selee@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