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韓·러시아 정상회담] 오리무중 '푸틴 행보'…회담 30분 늦추고 5시 돼서야 공식 오찬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이례적 당일치기 방한…'외교 결례' 논란
朴-푸틴, 단독 회담서 모든 의제 담판
'늦은 오찬'…정몽구 회장 등 기업인 만나
朴-푸틴, 단독 회담서 모든 의제 담판
'늦은 오찬'…정몽구 회장 등 기업인 만나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이 13일 정상외교로는 이례적인 ‘당일치기’ 방한으로 ‘외교 결례’ 논란에 휩싸였다.
한·러 양국은 당초 이날 오전으로 정상회담 일정을 조율했다. 하지만 푸틴 대통령이 방한 날짜를 12일에서 13일로 하루 미룬다고 일방적으로 통보해옴에 따라 회담 시작 시간도 13일 오후 1시로 미뤄졌다. 푸틴 대통령은 이마저도 시간을 지키지 않았다. 예정보다 30분 늦은 오후 1시30분께야 정상회담이 시작됐다. 푸틴 대통령이 이날 숙소로 썼던 서울 시내 한 호텔을 나서던 중 대한삼보연맹 관계자 30여명과 삼보(러시아의 전통무술) 도복을 입은 초등학생 두 명을 보고는 차에서 내려 이들과 일일이 악수하는 바람에 지각 방문한 것이다.
이후 일정도 줄줄이 미뤄졌다. 오후 2시40분 열릴 예정이었던 양국 정상 공동기자회견은 오후 4시5분에 시작됐고, 당초 오후 3시15분으로 예정됐던 ‘늦은 오찬’ 역시 오후 5시 직전부터 진행돼 “사실상 ‘이른 만찬’이 됐다”는 말도 나왔다. 이 때문에 오찬에 참석하기로 했던 정·재계, 학계 등 각계 인사 80여명도 청와대에 도착해 두 시간가량을 더 기다려야 했다.
푸틴 대통령은 이날 새벽 3시께 한국에 도착해 정상회담 일정을 바쁘게 소화한 뒤 저녁에 떠났는데, 한 국가의 정상이 공식방문차 외국을 방문하면서 당일치기로 하는 것은 외교 관례상 이례적이라는 얘기가 나온다. 정부 관계자는 푸틴 대통령의 외교 결례 논란에 대해 “정상회담 특성상 상대국의 사정을 고려할 수밖에 없다”며 “러시아 측에서 사전에 일정 변경을 알려왔다”고 해명했다. 입국 장소도 성남 서울공항에서 방한 하루 전날 인천공항으로 바꾸며 청와대 경호실에 비상이 걸렸다.
푸틴 대통령의 외교 결례 구설은 이번이 처음은 아니다. 푸틴 대통령은 총리 시절인 2008년에도 논란을 일으켰다. 푸틴 대통령은 그해 9월29일 오후 5시(현지시간) 이명박 당시 대통령과 러시아 정부 영빈관에서 만나기로 돼 있었는데, 50분이나 늦게 모습을 나타냈다. 지난 9월 러시아 상트페테르부르크에서 열린 한·러 정상회담 때도 푸틴 대통령은 한 시간가량 지각했고, 김대중 전 대통령 역시 2000년 정상회담 때 45분을 기다렸다. 푸틴 대통령의 지각은 세계 외교가에서도 널리 알려진 일이다. 지난해 주요 20개국(G20) 정상회의 당시 버락 오바마 미국 대통령과 앙겔라 메르켈 독일 총리는 각각 40분을 기다려야 했다.
박 대통령과의 이날 정상회담에서는 두 정상이 배석자 없이 한 시간가량 1 대 1 단독회담을 통해 대부분의 의제에 대해 합의를 도출한 것으로 알려졌다. 단독회담에서 대부분 결론이 남에 따라 확대회담은 기념촬영만 하고 끝났다고 참석자들이 전했다.
이날 오후 늦게 열린 오찬 행사에는 재계·금융계에서 정몽구 현대자동차그룹 회장과 한덕수 무역협회 회장, 박기홍 포스코 사장, 고재호 대우조선해양 사장, 박대영 삼성중공업 사장, 유창근 현대상선 사장, 김용환 수출입은행장이, 정·관계에서는 황우여 새누리당 대표, 박기춘 민주당 사무총장, 현오석 부총리, 윤상직 산업통상자원부 장관, 서승환 국토교통부 장관, 윤병세 외교부 장관 등이 참석했다.
도병욱 기자 dodo@hankyung.com
한·러 양국은 당초 이날 오전으로 정상회담 일정을 조율했다. 하지만 푸틴 대통령이 방한 날짜를 12일에서 13일로 하루 미룬다고 일방적으로 통보해옴에 따라 회담 시작 시간도 13일 오후 1시로 미뤄졌다. 푸틴 대통령은 이마저도 시간을 지키지 않았다. 예정보다 30분 늦은 오후 1시30분께야 정상회담이 시작됐다. 푸틴 대통령이 이날 숙소로 썼던 서울 시내 한 호텔을 나서던 중 대한삼보연맹 관계자 30여명과 삼보(러시아의 전통무술) 도복을 입은 초등학생 두 명을 보고는 차에서 내려 이들과 일일이 악수하는 바람에 지각 방문한 것이다.
이후 일정도 줄줄이 미뤄졌다. 오후 2시40분 열릴 예정이었던 양국 정상 공동기자회견은 오후 4시5분에 시작됐고, 당초 오후 3시15분으로 예정됐던 ‘늦은 오찬’ 역시 오후 5시 직전부터 진행돼 “사실상 ‘이른 만찬’이 됐다”는 말도 나왔다. 이 때문에 오찬에 참석하기로 했던 정·재계, 학계 등 각계 인사 80여명도 청와대에 도착해 두 시간가량을 더 기다려야 했다.
푸틴 대통령은 이날 새벽 3시께 한국에 도착해 정상회담 일정을 바쁘게 소화한 뒤 저녁에 떠났는데, 한 국가의 정상이 공식방문차 외국을 방문하면서 당일치기로 하는 것은 외교 관례상 이례적이라는 얘기가 나온다. 정부 관계자는 푸틴 대통령의 외교 결례 논란에 대해 “정상회담 특성상 상대국의 사정을 고려할 수밖에 없다”며 “러시아 측에서 사전에 일정 변경을 알려왔다”고 해명했다. 입국 장소도 성남 서울공항에서 방한 하루 전날 인천공항으로 바꾸며 청와대 경호실에 비상이 걸렸다.
푸틴 대통령의 외교 결례 구설은 이번이 처음은 아니다. 푸틴 대통령은 총리 시절인 2008년에도 논란을 일으켰다. 푸틴 대통령은 그해 9월29일 오후 5시(현지시간) 이명박 당시 대통령과 러시아 정부 영빈관에서 만나기로 돼 있었는데, 50분이나 늦게 모습을 나타냈다. 지난 9월 러시아 상트페테르부르크에서 열린 한·러 정상회담 때도 푸틴 대통령은 한 시간가량 지각했고, 김대중 전 대통령 역시 2000년 정상회담 때 45분을 기다렸다. 푸틴 대통령의 지각은 세계 외교가에서도 널리 알려진 일이다. 지난해 주요 20개국(G20) 정상회의 당시 버락 오바마 미국 대통령과 앙겔라 메르켈 독일 총리는 각각 40분을 기다려야 했다.
박 대통령과의 이날 정상회담에서는 두 정상이 배석자 없이 한 시간가량 1 대 1 단독회담을 통해 대부분의 의제에 대해 합의를 도출한 것으로 알려졌다. 단독회담에서 대부분 결론이 남에 따라 확대회담은 기념촬영만 하고 끝났다고 참석자들이 전했다.
이날 오후 늦게 열린 오찬 행사에는 재계·금융계에서 정몽구 현대자동차그룹 회장과 한덕수 무역협회 회장, 박기홍 포스코 사장, 고재호 대우조선해양 사장, 박대영 삼성중공업 사장, 유창근 현대상선 사장, 김용환 수출입은행장이, 정·관계에서는 황우여 새누리당 대표, 박기춘 민주당 사무총장, 현오석 부총리, 윤상직 산업통상자원부 장관, 서승환 국토교통부 장관, 윤병세 외교부 장관 등이 참석했다.
도병욱 기자 dodo@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