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 대부분 칼슘 부족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국민 대부분 칼슘 부족
=성장기 더 심각
젖먹이를 제외한 전 연령대에서 칼슘이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65세 이상과 청소년의 칼슘 섭취량 부족 정도가 심했다.
질병관리본부 질병예방센터가 2011년 국민건강영양 통계를 분석한 결과 우리 국민의 식생활에서 칼슘 섭취량이 권장량의 평균 72% 수준에 그쳤다고 14일 발표했다. 남성은 권장량 대비 78%를 섭취했고 여성은 67%에 머물렀다.
특히 65세 이상은 칼슘 권장량의 56%를 섭취해 모든 연령대 가운데 칼슘 섭취량이 가장 낮았다. 칼슘 공급이 충분해야 할 12~18세 청소년도 권장량의 59%만 섭취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칼슘 섭취량은 소득 수준에 따라서도 차이를 보였다. 소득을 4단계로 구분했을 때 가장 높은 집단이 권장량의 78%를 섭취한 반면 최저 집단은 67%로 소득계층 간 차이가 컸다.
식생활로 얻는 칼슘의 양은 하루 평균 517.9㎎이며 주공급원은 채소류(26.7%), 우유류(23.2%) 등이었다. 단일 식품으로는 우유(16.8%)가 1위고, 뒤를 이어 멸치(6.3%), 김치(6.2%) 등의 순이었다.
이준혁 기자 rainbow@hankyung.com
=성장기 더 심각
젖먹이를 제외한 전 연령대에서 칼슘이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65세 이상과 청소년의 칼슘 섭취량 부족 정도가 심했다.
질병관리본부 질병예방센터가 2011년 국민건강영양 통계를 분석한 결과 우리 국민의 식생활에서 칼슘 섭취량이 권장량의 평균 72% 수준에 그쳤다고 14일 발표했다. 남성은 권장량 대비 78%를 섭취했고 여성은 67%에 머물렀다.
특히 65세 이상은 칼슘 권장량의 56%를 섭취해 모든 연령대 가운데 칼슘 섭취량이 가장 낮았다. 칼슘 공급이 충분해야 할 12~18세 청소년도 권장량의 59%만 섭취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칼슘 섭취량은 소득 수준에 따라서도 차이를 보였다. 소득을 4단계로 구분했을 때 가장 높은 집단이 권장량의 78%를 섭취한 반면 최저 집단은 67%로 소득계층 간 차이가 컸다.
식생활로 얻는 칼슘의 양은 하루 평균 517.9㎎이며 주공급원은 채소류(26.7%), 우유류(23.2%) 등이었다. 단일 식품으로는 우유(16.8%)가 1위고, 뒤를 이어 멸치(6.3%), 김치(6.2%) 등의 순이었다.
이준혁 기자 rainbow@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