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계 CEO 인사시즌] 떨어지는 낙엽도 조심해야…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막판 인사 변수는
삼성 '계열사 사업재편'
현대차, R&D 후속 인사
삼성 '계열사 사업재편'
현대차, R&D 후속 인사
올해는 인사 시즌 본격 개막에 앞서 변수가 속출하고 있다. 연말연시 인사의 핵심 잣대는 ‘실적’이지만 올해는 의외의 요인이 변수가 될 수 있다는 관측이 나온다. 4대 그룹의 사정도 마찬가지다. ‘뚜껑을 열기 전까지는 정말 모르겠다’는 얘기가 심심찮게 나온다. 그만큼 사장단 인사에 영향을 끼칠 변수가 많다는 얘기다.
삼성의 경우 ‘계열사 사업 재편’이 변수다. 삼성은 하반기에만 삼성SNS를 삼성SDS에 흡수·합병시킨 것을 시작으로 △제일모직 패션사업의 삼성에버랜드 이관 △삼성에버랜드 건물관리사업 양도 및 급식사업 분할 △삼성코닝정밀소재 지분 매각 등 굵직한 사업 재편안을 잇따라 발표했다. 해당 계열사 CEO의 인사에 중대한 영향을 끼칠 변수다.
삼성 내부에서는 연말 사장단 인사를 전후해 또 다른 사업 재편이 있을 수 있다는 얘기가 흘러나오고 있다. 그룹 관계자는 “지난 수년간 인사는 자리가 정해져 있고 그 자리를 채우는 형식이었는데 올해는 사업 재편으로 자리가 없어지거나 새로 만들어지고 있어서 섣불리 점치기가 힘들다”고 귀띔했다.
부사장·전무급 이하에선 삼성전자의 혁신 DNA를 계열사로 전파하는 게 중요한 화두가 될 전망이다. 이미 삼성전자 여러 임원들이 최근 삼성엔지니어링, 삼성전기 등으로 옮겼다.
현대자동차는 권문식 연구개발본부 사장 경질로 시작된 연구개발(R&D) 부문 재편이 막판 변수로 등장했다. 권 사장의 후임 인사가 아직 정해지지 않은 상황에서 품질 문제에 대한 정몽구 회장의 쇄신 인사가 다른 계열사로 확산될 가능성이 나오고 있어서다. 권 사장과 함께 경질된 현대차 김용칠 부사장, 김상기 전무에 이어 현대모비스 R&D 고위 임원도 최근 사표를 제출한 것으로 알려져 이런 관측을 뒷받침하고 있다.
SK는 최태원 회장의 공백이 사장단 인사에 어떤 식으로 영향을 끼칠지가 관심이다. 그룹 내부에서 총수가 없는 상황에서 큰 폭의 인사는 없을 것이라는 시각과 그룹 안팎의 쇄신을 위해 대대적인 물갈이 인사가 있을 것이라는 관측이 팽팽히 맞선다.
LG는 구본무 회장이 최근 임원세미나 등에서 반복적으로 시장선도를 위한 R&D, 마케팅의 중요성을 강조함에 따라 해당 분야 인력이 중용될 것이란 분석이 나오고 있다.
이태명/정인설 기자 chihiro@hankyung.com
삼성의 경우 ‘계열사 사업 재편’이 변수다. 삼성은 하반기에만 삼성SNS를 삼성SDS에 흡수·합병시킨 것을 시작으로 △제일모직 패션사업의 삼성에버랜드 이관 △삼성에버랜드 건물관리사업 양도 및 급식사업 분할 △삼성코닝정밀소재 지분 매각 등 굵직한 사업 재편안을 잇따라 발표했다. 해당 계열사 CEO의 인사에 중대한 영향을 끼칠 변수다.
삼성 내부에서는 연말 사장단 인사를 전후해 또 다른 사업 재편이 있을 수 있다는 얘기가 흘러나오고 있다. 그룹 관계자는 “지난 수년간 인사는 자리가 정해져 있고 그 자리를 채우는 형식이었는데 올해는 사업 재편으로 자리가 없어지거나 새로 만들어지고 있어서 섣불리 점치기가 힘들다”고 귀띔했다.
부사장·전무급 이하에선 삼성전자의 혁신 DNA를 계열사로 전파하는 게 중요한 화두가 될 전망이다. 이미 삼성전자 여러 임원들이 최근 삼성엔지니어링, 삼성전기 등으로 옮겼다.
현대자동차는 권문식 연구개발본부 사장 경질로 시작된 연구개발(R&D) 부문 재편이 막판 변수로 등장했다. 권 사장의 후임 인사가 아직 정해지지 않은 상황에서 품질 문제에 대한 정몽구 회장의 쇄신 인사가 다른 계열사로 확산될 가능성이 나오고 있어서다. 권 사장과 함께 경질된 현대차 김용칠 부사장, 김상기 전무에 이어 현대모비스 R&D 고위 임원도 최근 사표를 제출한 것으로 알려져 이런 관측을 뒷받침하고 있다.
SK는 최태원 회장의 공백이 사장단 인사에 어떤 식으로 영향을 끼칠지가 관심이다. 그룹 내부에서 총수가 없는 상황에서 큰 폭의 인사는 없을 것이라는 시각과 그룹 안팎의 쇄신을 위해 대대적인 물갈이 인사가 있을 것이라는 관측이 팽팽히 맞선다.
LG는 구본무 회장이 최근 임원세미나 등에서 반복적으로 시장선도를 위한 R&D, 마케팅의 중요성을 강조함에 따라 해당 분야 인력이 중용될 것이란 분석이 나오고 있다.
이태명/정인설 기자 chihiro@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