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립국악학교, 경기도 성남에서 ‘우리가락과 춤’ 공연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2008년부터 국악 저변확대를 위해
지역학생과 주민들에게 무료 공연
지역학생과 주민들에게 무료 공연
국립국악학교(교장 신현남)는 11월 20일 경기도 성남아트센터 오페라하우스에서 '성남시민을 위한 우리가락과 춤' 공연을 펼쳤다.
국립국악학교는 국악 저변확대를 2008년부터 문화체육관광부 후원으로 지역학생과 주민들에게 우리 국악과 춤 공연을 진행해왔다. 그동안 남원‧진도, 화천, 부산, 제주, 춘천에서 성황리에 공연을 마쳤다.
올해 성남시민을 위한 공연에서는 △임금의 거동이나 군대의 행진 등에 사용되었던 대취타를 관현악곡으로 편성한 정악합주 '취타' △북한 작곡가인 김용실이 제철소 노동현장의 모습을 묘사한 거문고 제주 '출강' △경상남도 일원의 덧배기춤 가락을 바탕으로 청초하고 우아한 학의 모습을 형상화 한 민속무용 '동래학춤' 및 민속악합주 '산조합주' ,국악관현악 연주 등의 프로그램으로 구성했다.
국립국악학교는 1955년 국립국악원 부설 국악사양성소로 출발해 1991년 지금의 이름으로 바꾸고 국악영재들을 배출하고 있다.
한경닷컴 김호영 기자 enter@hankyung.com
국립국악학교는 국악 저변확대를 2008년부터 문화체육관광부 후원으로 지역학생과 주민들에게 우리 국악과 춤 공연을 진행해왔다. 그동안 남원‧진도, 화천, 부산, 제주, 춘천에서 성황리에 공연을 마쳤다.
올해 성남시민을 위한 공연에서는 △임금의 거동이나 군대의 행진 등에 사용되었던 대취타를 관현악곡으로 편성한 정악합주 '취타' △북한 작곡가인 김용실이 제철소 노동현장의 모습을 묘사한 거문고 제주 '출강' △경상남도 일원의 덧배기춤 가락을 바탕으로 청초하고 우아한 학의 모습을 형상화 한 민속무용 '동래학춤' 및 민속악합주 '산조합주' ,국악관현악 연주 등의 프로그램으로 구성했다.
국립국악학교는 1955년 국립국악원 부설 국악사양성소로 출발해 1991년 지금의 이름으로 바꾸고 국악영재들을 배출하고 있다.
한경닷컴 김호영 기자 enter@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