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학고도 대학과목 선이수제 적용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과학고에서도 대학 전공과목 학점을 미리 취득할 수 있게 됐다.
교육부와 미래창조과학부는 21일 5개 과학기술특성화대학과 21개 과학고 사이에 대학과목 선이수제(공동 AP과정)을 도입하는 내용의 협약서를 체결했다. 이에 따라 과학고에서 공동 AP과정을 이수한 학생이 과학기술특성화대학에 진학할 경우 이수 과목을 대학 학점으로 인정받을 수 있다.
현재 일부 과학영재학교에서 도입하고 있는 AP과정은 2015년부터 운영 여건이 조성된 과학고부터 시작해 전체 과학고로 확대하게 된다. 인정 대상은 대학 수준의 수학·과학 분야 심화 과목으로 미적분학, 확률 및
통계, 일반물리, 일반화학실험 등 12개 과목이 해당된다. 학점은 합격/불합격(Pass/Fail)으로 기입하며 평점 산정에는 반영하지 않는다. AP과정이 활성화되면 과학고 3년과 과기특성화대 3년 등으로 학사학위 취득이 가능한 ‘3+3 교육과정’이 마련될 전망이다.
과학기술특성화대학은 한국과학기술원(KAIST), 포스텍(포항공대), 울산과학기술대학교(UNIST), 광주과학기술원(GIST), 대구경북과학기술원(DGIST) 등이다.
이번 협약에는 과학고에서 대학교수의 지도 하에 학생 스스로 연구과제를 수행하며 학습하는 학생연구활동(R&E)과 과학기술특성화대학 교수의 이공계 진로 멘토링 지원 등의 내용도 포함됐다.
정태웅 기자 redael@hankyung.com
교육부와 미래창조과학부는 21일 5개 과학기술특성화대학과 21개 과학고 사이에 대학과목 선이수제(공동 AP과정)을 도입하는 내용의 협약서를 체결했다. 이에 따라 과학고에서 공동 AP과정을 이수한 학생이 과학기술특성화대학에 진학할 경우 이수 과목을 대학 학점으로 인정받을 수 있다.
현재 일부 과학영재학교에서 도입하고 있는 AP과정은 2015년부터 운영 여건이 조성된 과학고부터 시작해 전체 과학고로 확대하게 된다. 인정 대상은 대학 수준의 수학·과학 분야 심화 과목으로 미적분학, 확률 및
통계, 일반물리, 일반화학실험 등 12개 과목이 해당된다. 학점은 합격/불합격(Pass/Fail)으로 기입하며 평점 산정에는 반영하지 않는다. AP과정이 활성화되면 과학고 3년과 과기특성화대 3년 등으로 학사학위 취득이 가능한 ‘3+3 교육과정’이 마련될 전망이다.
과학기술특성화대학은 한국과학기술원(KAIST), 포스텍(포항공대), 울산과학기술대학교(UNIST), 광주과학기술원(GIST), 대구경북과학기술원(DGIST) 등이다.
이번 협약에는 과학고에서 대학교수의 지도 하에 학생 스스로 연구과제를 수행하며 학습하는 학생연구활동(R&E)과 과학기술특성화대학 교수의 이공계 진로 멘토링 지원 등의 내용도 포함됐다.
정태웅 기자 redael@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