온실가스 감축을 위해 폴란드 바르샤바에서 열린 제19차 유엔기후변화협약(UNFCC) 당사국 총회가 구체적인 성과를 내지 못한 채 23일(현지시간) 폐회했다.

이번 총회에서 190여개 회원국들은 2020년 이후 새로운 기후변화 체제를 마련키 위한 논의를 이어가기로 합의했을 뿐 온실가스 감축을 둘러싼 실행 방안을 놓고 선진국과 개발도상국 간 이견이 커 구체적인 성과를 내놓지 못했다. 다만 2015년 파리 총회에서 새로운 기후변화 협약을 마련한다는 원칙은 재확인했다.

회원국들은 또 2020년 만료되는 교토의정서 이후 새로운 기후변화 협약을 마련하는 데 ‘기여’하기로 합의했다. 기후 변화의 원인으로 지목된 삼림 파괴를 억제하기 위해 미국과 노르웨이 영국 독일 등 선진국들은 2억9000유로 규모의 기금을 내기로 했다.

해수 상승으로 수몰 위기에 처한 섬나라 등을 선진국이 지원하는 ‘손실과 피해(loss and damage)’ 메커니즘도 가동하기로 합의는 했지만 재원조달 규모와 실행 방법을 제시하지는 못했다.

이번 총회에서는 온실가스 감축 문제를 놓고 선진국과 개도국 간에 이견을 보여 실질적인 성과는 내놓지 못했다는 평가가 나온다. 애초 합의문 초안에는 새 기후변화 협약을 마련하는데 회원국이 ‘약속’한다는 문장이 담길 예정이었지만 온실가스 배출국인 중국과 인도의 반대로 약속보다는 의미가 떨어지는 ‘기여’라는 단어가 대신 합의문에 올랐다.

또 회의 막판에는 온실가스 배출 삭감 노력을 의무화한 1992년유엔기후변화협약의 대상을 선진국에서 모든 회원국으로 확대하자는 요구가 나왔으나 중국과 인도 등이 반대의 뜻을 분명히 해 결국 무산됐다. 특히 이번 협상의 핵심으로 꼽힌 2012∼2020년 온실가스 감축 방안에 대해서는 의견을 모으지 못했다.

환경 단체 옥스팜의 한 국장은 “온실가스를 감축하기 위한 재원 조달 방안은 결국 ‘언어 유희’에 불과하다는 점을 재확인했다”며 “결국 최빈국들이 온실가스의 최대 피해국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박병종 기자 ddak@hankyung.com